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시길, 고시해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고시길, 후창/고시해 외 |
지역개관 | 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 마을은 속칭이 섶밭이다. 마을 개척당시 숲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평야지대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이다. 개성 고씨가 모여 사는 집성촌으로, 150여호 450여명 정도가 산다. 약 400년 이상의 내력을 지닌 마을이다. 정월 대보름에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8일에 경상북도 문경시(문경군) 산양면 신전리 섶밭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시길, 고시해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달구소리의 사설으로는 흔히 회심곡이 쓰인다. 일반적으로는 달구질을 할 때 왼쪽으로는 돌지 않는다고 하나, 이 마을에서는 뒷소리가 오호 덜구야일 때는 오른쪽으로 돌다가, 자진소리로 에헤리 달게할 때는 왼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달구질은 보통 3번, 5번, 7번의 홀수로 한다. |
가사 | <달구소리>
오호 덜구야 오호 덜구야 덜구소리 나거들랑 오호 덜구야 일심합력 하여보세 오호 덜구야 아양노양 다 빼놓고 오호 덜구야 일등군정 골라서서 오호 덜구야 요만한일 못 할 손가 오호 덜구야 오호 덜구야 오호 덜구야 어화 청춘 벗님네야 오호 덜구야 백발 보고 웃지 마소 오호 덜구야 오늘 청춘 내일 백발 오호 덜구야 저승차사 거둥 보소 오호 덜구야 추상같은 저 호령에 오호 덜구야 활대같이 굽은 길이 오호 덜구야 설대같이1) 발라지네 오호 덜구야 저승문 다다르니 오호 덜구야 차례차례 묻는 말이 오호 덜구야 양지상에2) 살았을제 오호 덜구야 무슨 공덕 하고 왔노 오호 덜구야 옷없는 이 옷을 주어 오호 덜구야 하련공덕3) 하고 왔나 오호 덜구야 배고픈 이 밥을 주어 오호 덜구야 아사구지4) 하였든가 오호 덜구야 깊은 물에 다리 놓아 오호 덜구야 월천공덕5) 하였느냐 오호 덜구야 원두밭에 원두심어 오호 덜구야 행인걸객 면하였냐 오호 덜구야 차례 차례 묻는 말에 오호 덜구야 한 일 없어 대답 못해 오호 덜구야 어화 청춘 벗님네야 오호 덜구야 양지상에 살았을 때 오호 덜구야 조신조신 살아보세 오호 덜구야 목 마르면 술을 먹고 오호 덜구야 배 고프면 밥을 먹고 오호 덜구야 먼데 사람 처량하게 오호 덜구야 곁에 사람 일심합력 오호 덜구야 요만 한 일 못 할 손가 오호 덜구야 잠시 잠깐 쉬어보세 오호 덜구야 <달개 소리> 에헤리 달개 에헤리 달개 달개소리 나거들랑 에헤리 달개 종말 밑을6) 밟아주소 에헤리 달개 우리 나라 뉘 달개라 에헤리 달개 당나라는 당달개요 에헤리 달개 앉은 고린 개고리요 에헤리 달개 선고린 문고리요 에헤리 달개 에히요 에히요 이후후 1) 설대같이 : 화살대같이. 2) 양지상에 : 이승. 3) 활인공덕(活人功德). 4) 아사구제(餓死救濟) 5) 월천공덕(越川功德) 6) 종말밑 : 봉분의 중심을 잡기 위해서 세우는 종말대의 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