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중이 된 며느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문경군 영순면 율곡리 당골의 밭매는소리-중이 된 며느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경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경임 |
지역개관 | 문경군 영순면 율곡리 당골마을은 예전에 전촌(錢村)이라고 했다. 속칭은 딩골인데, 딩골은 돈골의 와음이라 한다. 이 마을은 40여호가 있으며, 120여명이 거주한다. 정월 대보름에 마을 입구에 있는 돌서낭에 제사한다.예시) 문경시 영순면 율곡리 당골은 예전에 전촌이라 불렸다. 속칭으로 딩골이라 하였는데 이는 돈골의 와음이라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7일에 경상북도 문경시(문경군) 영순면 율곡리 당골에서 채집한 중이 된 며느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경임이 참여하였다. 목화밭, 콩밭 등을 매면서 부르는 소리라고 한다. 시집살이 내용이다. 시집살이를 못견뎌 중이 되어 집을 나갔다가 동냥을 받으러 시댁에 와서 다시 살게되는 결말이 이색적이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15세 무렵에 고향에서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호메이 강생이1) 손에 들고 사래 진 목화밭을
피기마다2) 물을 주고 피기마다 부꿔줘서3) 한 골 매고 두 골 매고 시 골 반을 다여 매도 다른 정심은 다 나오는데 비적삼은4) 함뿍 젖고 배는 고파 등에 붙고 집이라 돌아오니 시어머님 하는 말쌈 어라 요년 요망한년 그걸사나 일이라고 점심 때를 찾아오나 하도 실프고 이이없어 머리 깍고 중을 갈라 고하니 한짝 귀때기 깍고나니 어머이 생각 절로 나고 또한 귀짝 끊고나니 아바이 생각 절로 나서 이짝저짝 다 깍고 아홉폭 주리장치매5) 한폭 뜯어 꼬깔 짓고 시폭 뜯어 바랑 짓고 두폭 떠서 행전 짓고 옷단장해 나여서니 지팽이가 없어 임아 임아 서방님아 지팽이 하나 꺽어주소 깔딱낫6) 손에 들고 뒷동산 올러가서 지팽이 하나 꺾어시러 바랑 망태 짊어지고 기약없이 댕기면서 방방곳곳마다 삽짝삽짝 가서 동냥을 달라 하니 이 집이 좁쌀을 잘주까 마다하고 보리쌀 주까 마다해 좁쌀을 주는 것을 피주까 마다하고 칭이 주까 마다하고 저분으로 찍 끄올리다보이 해는 서산에 넘어가고 침침한 야산밤이라 이 집에 좀 자고 갑시다 하니 우리 집에는 잘 데가 없다 하니 뒷간에 따나 자고 갑시다 그러만 그긴따나 자소 밤에 자다가 개가 공공 짖기길래 개야 개야 짖지마라 이전에 너 밥 주던 주인이다 닭아 닭아 우지 마라 너 모시 주던 주인이다 여보게 저 사램이 누간지 저러한 소리를 하니 방으로 가시러 장도 묵은 장이 좋지 그릇도 질든 그릇이 좋잖냐꼬 (“그래 가지고 잘 사더랍니다 ”) 1) 호메이 강생이 : 호미의 쇠자루. 거기에 나무 손잡이를 끼운다 2) 피기마다 : 포기마다. 3) 부꿔줘서 : 북돋아 주어서. 4) 비적삼 : 베 적삼. 5) 주리장치매 : 주름치마. 6) 갈딱낫 : 조그만 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