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베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문경군 영순면 율곡리 당골의 베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경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경임 |
지역개관 | 문경군 영순면 율곡리 당골마을은 예전에 전촌(錢村)이라고 했다. 속칭은 딩골인데, 딩골은 돈골의 와음이라 한다. 이 마을은 40여호가 있으며, 120여명이 거주한다. 정월 대보름에 마을 입구에 있는 돌서낭에 제사한다.예시) 문경시 영순면 율곡리 당골은 예전에 전촌이라 불렸다. 속칭으로 딩골이라 하였는데 이는 돈골의 와음이라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7일에 경상북도 문경시(문경군) 영순면 율곡리 당골에서 채집한 베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경임이 참여하였다. 베틀의 내력과 베짜는 모습을 서사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가창자가 15세 무렵에 길쌈을 하면서 친정어머니로부터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할 일이 전혀 없어 지하땅에 니리와서
사방 산천 둘러보니 비었도다 비었도다 옥난간이 비었도다 옥난간에 비틀 놓고 비틀다리 양 네 다리 큰애기다리 양 두 다리 앞다릴랑 솟아 놓고 뒷다릴랑 낮차 놓고 가르새라1) 지른 양은 청룡황룡 부러졌네 앉을깨라2) 앉는 양은 우리 나라 금사님이 영신작에 걸터 앉아 비태라3) 차는 양은 오곡만사 실봉에는 실안개로 둘러차고 말코라4) 차는 양은 삼대 독대 위동아들 밍가 복가 갱깄도다 바디집아5) 치난 소리 만첩산중 깊은 골에 벼락 치는 소리로다 앙금 당금두 췌발은6) 양갓을 밟아가며 북이라7) 노는 양은 치치없는 활을 물고 지도방에 놀아나네 잉에올이 사올이는 검은 구름 흰 구름과 합수하는 지응이요 잉앳대는8) 삼형지요 눌라람대9) 호루라비 혼자 입을 못살아서 훌름태사 넘어가네 의사 많은 비개미는10) 사침대를11) 앞서우고 백비알을 돌아타네 눈썹노리12) 두 형지는 절 잘하고 일어나고 용두머리13) 우난 소리 다 새가는 새벽달에 헛달 우는 소리로다 한 발 굽은 굵은 새끼 헌 신짝에 목을 매고 절로 굽은 신집나무14) 지도방에 놀아나네 황소겉은 도투마리15) 쿵잘씨구 넘어가고 청잘씨구 일어나네 뱁댕이라16) 지는 양은 여도지고 저도 지고 그 비 한필 다여 짜서 앞냇강에 휘아서러 뒷냇강에 바래여서 푸다대미17) 곱기 해서 은가위로 말라 지러 굵은 실로 중침 놓고 가는 실로 상침 놓고 의복간장 임을 임의 의복을 입히 놓고 통양갓에 이을때기 임의 얼굴 좋은 얼굴 우리 다시는 못 볼세 1)가로대(가리새): 베틀의 두 다리사이에 가로질러 놓은 나무. 2)앉을깨(안챈널): 배 짜는 사람이 앉는 널판. 뒷기둥 위 베틀다리 위에 걸쳐놓는다. 3)부티(부테): 포목을 짤 때 베틀의 말코 두 끝에 부티끈으로 매어 짜는 사람의 허리에 두르는 띠. 이것을 몸으로 당기어 날실에 장력을 준다. 4)말코(말쾌·멀코·매듭대): 포목이 짜여져 나오면 감기 위한 대. 이 끝에 부티끈을 잡아매어 몸의 힘으로 날실과 짜여진 포목을 당긴다. 5)바딧집: 바디의 위와 아래에 두른 두 짝의 나무테로 흠이 있어 바디를 끼우고 양편 마구리에 바딧집 비녀를 꽂는다. 6)최활(치활,췌발): 포목을 짤 때 좁아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가로 넓이를 유지시키는 나무. 7)북: 실꾸리를 넣고 날실 사이로 오가면서 씨실을 넣어 직물이 짜여지도록 하는 배 모양을 한 나무통. 8)잉앗대(잉애대): 눈썹줄과 잉앗실을 거는 나무. 9)눌림대(눌룸대): 잉아 뒤에 있으며 베날을 눌러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10)비경이(비게미,베게미,빙어리): 잉아 뒤와 사침대 앞 사이에 있어서 날실이 잘 벌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11)사침대(궁구리대): 두 개의 대나무 꼬챙이로 만들며 베틀의 비경이 옆에 있어 날실의 사이를 떼어 주는 작용을 한다. 12)눈썹노리: 눈썹대의 끝부분을 말하며 이곳에 눈썹줄이 연결된다. 13)용두머리(용두마리,원산): 베틀의 앞기둥(두개) 위에 걸쳐놓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나무. 여기에 눈썹대·베틀신대를 끼우게 되어 있다. 14)베틀신대(신낭게,신나무,쇠꼬리): 용두머리 중앙 뒤쪽에 박아서 아래로 내려뜨려 베틀신과 베틀신끈으로 연결시키는 대나무. 15)도투마리: H형의 널판지로 되어 있으며 베매기에서 날실이 여기에 감긴다. 베틀 앞다리 너머의 머리채 위에 얹어 둔다. 16)뱁댕이(벱뎅이,뱃대,베비): 베매기에 의해 날실을 도투마리에 감을 때 서로 붙지 못하게 사이사이에 끼우는 대가지. 17)푸다대미: 풀을 먹여서 하는 다듬이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