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연자매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매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의 연자매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중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상중 |
지역개관 | 삼동리는 환동(골마), 학동, 추동(가래골)이 합쳐서 이뤄진 마을이다. 마을에는 25호 75명 안팎이 산다. 마을은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동네 논 가운데에는 서낭당이 있고, 현재에도 당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10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에서 채집한 연자매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상중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맷돌소리라고 부른다. 소를 메워 연자매를 돌리면서 하는 소리이다. 50년전에 들은 기억을 되살려 불러 주었다. |
가사 | 싱걸 싱글 도는 방하
연지방아 돌어간다 돌고 돌고 또 돌어서 어느 누고 양식하노 우리 아가 배고플 때 양식할라 찧어주네 짓네 짓네 빨리 가재이 때가 늦고 해가 간다 연자방하 도는 소리 내 간장에 구곡일세 해는 지고 저문데이 우리 영감 아니오네 오소 오소 빨리 오게이 해가 지고 저무신다 우리 영감 오드래도 어이하면 오게 하노 우리 영감 못 오시면 내라도야 가져 가재 우리 아기 주고 나먼 우리 영감 업살한다1) 하고 보자 빨리 보재이 정말 진정 애닯구나 방하방하 연자방하 돌고 도는 연자방하 어서 가자 어서 쭉쭉 이 소 빨리 멀어 보게 늦는 사리2) 가고 보니 손이라도 빨리 놀려 우게주자3) 빨리 우겨 씨자 씨자 몽드랑비로4) 없는 비를 찾아보니 어이 없고 그지없네 솜씨 찾아 명비를5) 한짝 손에 갈라 쥐고 왼짝 손에 씨여 놓고 한짝 손을 우겨줄 때 우리 낭군 만날라꼬 애걸복통 하여 봐도 어이하야 안오시니 시가 가고 때가 갔네 1) 업살한다 : 싫어한다. 또는 시샘한다. 2) 늦는사리 : 석양. 3) 우게주자 : 곡식을 안으로 우겨넣자. 4) 몽드랑비 : 몽당비. 5) 명비 : 양반이 쓰는 고급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