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연자매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매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의 연자매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사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사원 |
지역개관 | 삼동리는 환동(골마), 학동, 추동(가래골)이 합쳐서 이뤄진 마을이다. 마을에는 25호 75명 안팎이 산다. 마을은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동네 논 가운데에는 서낭당이 있고, 현재에도 당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10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에서 채집한 연자매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사원이 참여하였다. 강사원씨의 고향은 이상중씨의 옆마을이다. 가창자는 이 소리를 연자방아 가는 소리라고 했다. 13세 무렵에 들은 기억을 살려서 불렀다. |
가사 | (“이야 어데 이 소야 빨리 가자 ”)
소야 소야 빨리 가자 해는 지고 날은 밝은데 이 방아를 다 찧자니 (“이랴 어서 가자 빨리 가자 ”) 뒷볼치는1) 분에게는 빨리 빨리 따라 와야 됩니다 소가 빨리 가자며는 잘못하면 돌게 치애요2) (“아주머니, 빨리 따라 오세요 ”) 이랴 빨리 가세요 보를 치는 경수경에 풍구대야 말 잘 들어라 꼴도 보니 아이는3) 찧었다 (“아주머니 에 비로 빨리 쓸어내시요 ”) 빨리 쓸어내요 또 딴걸 옇찮습니까 예 아지맴요4) 말 잘 들으꺼요 소나 빨리 모시요 (“아이고 배가 고파요, 나는요, 다른 술잔, 난, 어리기 때문에 술을 못 먹었습니다, 배가 많이 고프니께네, 빨리 좀 하고 뭘좀 줘요 ”) 그러면은 밀찌울밥5) 떡 꾸논 것 갔다났십니다 쪼끔 쉬어서 먹고 찝시다 1) 뒷볼치는 : 소 뒤에 따라오며 곡식을 우겨주는 2) 치애요 : 치어요. 3) 아이는 : 초벌은. 4) 아지맴 : 아주버니. 5) 밀찌울 밥 : 밀기울을 쪄서 만든 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