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써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의 풀써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중, 강사원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이상중, 나/강사원 |
지역개관 | 삼동리는 환동(골마), 학동, 추동(가래골)이 합쳐서 이뤄진 마을이다. 마을에는 25호 75명 안팎이 산다. 마을은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동네 논 가운데에는 서낭당이 있고, 현재에도 당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10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에서 채집한 풀써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상중, 강사원이 참여하였다. 토비할 풀을 베어다 작두에 썰면서 하는 소리이다. 손작두로 직접 풀을 썰면서 노래했다. 발로 작두를 딛는 사람에게 가늘고 굵은 풀의 종류를 알려주어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이다. |
가사 | 가 : 자, 사천영감1)
나 : 아이 가 : 짝도2) 벌려 나 : 아이 가 : 잘도 하고 나 : 어이싸 가 : 잘도 하고 나 : 어야 가 : 질게떡아3) 나 : 어싸 가 : 우거진다4) 나 : 에 가 : 우지네 나 : 에 가 : 잘도 하고 나 : 에 가 : 아, 개미 한 잔등이5) 나 : 어이껴 가 : 개미 한 잔등이 나 : 어이 가 : 어무 한 뒤꾸머리다6) 나 : 어이야 가 : 개미 한 잔등이 나 : 어이야 가 : 잘도 하네 나 : 어야 가 : 잘도 한다 나 : 어야 가 : 하늘겨7) 나 : 에 가 : 벌려라 나 : 에 가 : 잘도 하시네 나 : 잘도 한다 가 : 사천영감 나 : 에 가 : 잘도 하시네 가 : 어디 갔다 나 : 에 가 : 이제 왔노 가 : 응금슬쩍 나 : 에 가 : 먹에 주고 가 : 잘도 하시네 나 : 에 가 : 개미한잔등이다 나 : 에 가 : 굼뱅이 잔등뼈8) 가 : 아이구 잘도 한다 가 : 우러 잔드 꾸부리자 가 : 지게쭐9) 걸렸구나 가 : 여도 물리고 나 : 에 가 : 여도 물린다 나 : 에이 영감 잡는다 가 : 여도 물린다 나 : 에 가 : 어우 잘도 한다 나 : 에 가 : 밟어라 나 : 에 가 : 잘 하시네 나 : 에 가 : 잘 하네 가 : 아이고 나 : 어이싸 가 : 이렇게 잘 하는거 나 : 어이 가 : 사천영감 가 : 잘도하네 나 : 어 가 : 어디 갔다 나 : 어이 가 : 굼뱅이 잔등뼈다 나 : 어이 가 : 개미 한 잔등이 나 : 아야 가 : 사천영감 나 : 애 가 : 대구빠리다10) 나 : 애 가 : 질게벌갱이11) 나 : 아이고 뒷다리 왜 이리 야무노 가 : 질게벌갱이 나 : 애 가 : 끝내시네 나 : 헤 가 : 잘도 한다 나 : 헤 가 : 잘 하시네 나 : 애 1) 사천영감 : 강사원씨를 지칭하는 말. 부인의 친정지명에 영감을 붙여서 쓴다. 2) 짝도 : 작두 3) 질게떡 : 찰떡처럼 되찬 풀. 4) 우거진다 : 풀이 많다는 뜻. 5) 개미한잔등이 : 개미 허리보다 가느다란 풀. 6) 어무 한 뒤꾸머리다 : 열무 한 단이라는 뜻. 7) 하늘겨 : 하늘을 향하여. 8) 굼벵이 잔등뼈 : 풀이 무르다는 뜻. 9) 지게쭐 : 지게줄처럼 질긴 풀. 10) 대구빠리 : 풀이 야물다는 뜻. 11) 질게벌갱이 : 질경이처럼 풀이 딸려 온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