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운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봉화군 춘양면 석현리 공숫골의 운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덕칠, 김상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장덕칠, 나/김상순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석현리 공숫골은 석현 서쪽에 있는 마을로서 조선 시대에는 세납 창고가 있었다. 이 마을은 속칭 곽하 또는 공숫골이다. 새가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고도 하며, 주위에 절이 있는데 이 절에 물을 바치는 골이라 하여 공숫골이라 하였다는 말도 전해진다. 마을은 약 2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70호 200여명이 산다. 동제는 현재 지내지 않는다. 태백산 줄기의 산간 마을이다. 구마동이란 일제시대의 산판이 가까운 곳에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25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석현리 공숫골에서 채집한 운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덕칠, 김상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춘양은 일제시대에 유명한 산판 지대이다. 목도소리가 비교적 많이 남아있는 고장이다. 일제시대에 벌목을 많이 했기 때문에 운재소리, 목도소리에는 일본어말이 남아있다. 후렴 어야 사나가 독특하다. |
가사 | 가 : 어여러사나
나 : 어야사나 가 : 도비꾼들은1) 나 : 어야사나 가 : 앞으로 들고 나 : 어야사나 가 : 쓰리에꾼들은2) 나 : 어야사나 가 : 조끔만 솟수게3) 나 : 어야사나 가 : 사람은 적고 나 : 어야사나 가 : 낭그는 크구나 나 : 어야사나 가 : 우장은 뒤우로 나 : 어야사나 가 : 앞대가리 들어서 나 : 어야사나 가 : 빨래짱 우에다 나 : 어야사나 가 : 올래 노면 나 : 어야사나 가 : 도비꾼들아 나 : 어야사나 가 : 찍어서 땡기라 나 : 어야사나 가 : 힘 많이 씨며는 나 : 어야사나 가 : 돈 많이 준다네 나 : 어야사나 가 : 사람은 적고요 나 : 어야사나 가 : 낭그는 크구나 나 : 어야사나 가 : 요놈우 나무가 나 : 어야사나 가 : 지남철 붙었나 나 : 어야사나 가 : 요동도 안오 나 : 어야사나 가 : 쓰리꾼들아 나 : 어야사나 가 : 힘많이 쓰며는 나 : 어야사나 가 : 돈 많이 준단다 나 : 어야사나 가 : 도비꾼들아 나 : 어야사나 가 : 바짝바짝 나 : 어야사나 가 : 땡겨만 주게 나 : 어야사나 가 : 한번에 한치썩 나 : 어야사나 가 : 열번이먼 한자요 나 : 어야사나 가 : 백번이먼 열자다 나 : 어야사야 가 : 이렁 저렁 나 : 어야사나 가 : 밀고 땡기니 나 : 어야사나 가 : 적티장머리4) 나 : 어야사나 가 : 다와 간다 나 : 어야사나 가 : 아무쪼록 나 : 어야사나 가 : 일심을 받아 나 : 어야사나 가 : 조심을 하면서 나 : 어야사나 가 : 또 당도했구나 나 : 어야사나 가 : 돈 많이 주고요 나 : 어야사나 가 : 아부나꾼은5) 나 : 어야사나 가 : 물러서거라 나 : 어야사나 가 : 여의도사나 나 : 어야사나 가 : 이야치야 나 : 어야사나 가 : 잘도 간다 나 : 어야사나 가 : 적태장머리 나 : 어야사나 가 : 당도하였네 나 : 어야사나 가 : 오야치야 나 : 어야사나 가 : 고만 두고 나 : 어야사나 가 : 또 한토막 꾸불자 나 : 어야사나 가 : 도비야꾼들은 나 : 어야사나 가 : 주디이를 들고요 나 : 어야사나 가 : 쓰리꾼들아 나 : 어야사나 가 : 쪼끔만 솟수게 나 : 어야사나 가 : 요놈의 나무가 나 : 어야사나 가 : 무쇠철 붙었나 나 : 어야사나 가 : 우얘 그리도 나 : 어야사나 가 : 요동을 안해 나 : 어야사나 가 : 우야치여 나 : 어야사나 가 : 대장님들아 나 : 어야사나 가 : 일심을 받아서 나 : 어야사나 가 : 힘 많이 써주기 나 : 어야사나 가 : 움쩍움쩍 나 : 어야사나 가 : 잘 내려간다 나 : 어야사나 가 : 요만침 가면은 나 : 어야사나 가 : 적태장머리 나 : 어야사나 가 : 또 당도했구나 나 : 어야사나 가 : 두개만 왔으니 나 : 어야사나 가 : 쉬어서 하자 나 : 어야사나 가 : 위야치여 나 : 어야사나 1) 도비꾼 : 도비로 나무 앞을 드는 사람. 도비는 찍어 올리는 도구이다. 일본말. 우리말로는 깍장쇠라 한다. 2) 쓰리에꾼 : 앞에서 쓰루로 통나무를 머리를 드렁주면서 동작을 지시하는 사람. 일본말 쓰루의 우리말은 황새목. 3) 솟수게 : 들어올리게 4) 적티장 : 나무를 쌓아 놓는 곳. 적치장. 5) 아부나꾼 : 요령을 피우면서 힘을 쓰지 않는 사람. 아부나이는 워험하다는 뜻의 일본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