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 결단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중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권중락 |
지역개관 |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 결단은 문수산 중턱에 있는 절이 소유한 토지가 많이 있는 곳이라서 절땅으로 불렀다. 이 절땅이 절단으로 와음되었는데, 이를 한문표기하다 보니 결단(結丹)이 되었다. 이 마을은 47호 140여명이 산다. 중산간 마을로 교통이 불편한 오지이다. 마을 주민들은 약초재배를 많이하고 있다. 1973년까지 당제를 지냈고, 농악대와 유교식 축문을 읽는다.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26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 결단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중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모심는 소리의 가창방식으로서는 독특하게 선후창형식이다. 이런 유형의 모심는 소리는 예천, 문경 등지에서 채록되었다. |
가사 | (다같이 ) 이리오 에이쑤나 아도오 이리오1)
바다겉은 이모판이 장기판이 되야구나 이리오 에이쑤나 아도오 이리오 장기판이사 좋다마는 뚤이가2) 없어서 못뚜겠네 이리오 에이쑤나 아도오 이리오 1) 이리오 에이 쑤나 아도오 이리오 : 독자적인 후렴인데, 흔히 이여송이라고 한다. 2) 뚤이 : 같이 장기를 둘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