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지신밝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상주군 화서면 율림리 밤고개의 지신밟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곽성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곽성준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상주군 화서면 율림리 밤고개는 전주 이씨 27호, 경주 이씨 7호 등 67호가 거주한다. 마을의 동제는 정월 14일에 지낸다. 마을은 산 아래쪽에 있으나, 마을 앞에 넓은 들이 있다. 논농사를 주로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10일에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화서면 율림리 밤고개에서 채집한 지신밟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곽성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초에 풍물을 치면서 집집을 돌며 지신을 밟으며 부르는 노래이다. 내용은 지세풀이, 명기풀이, 액풀이, 살풀이 등으로 구성되어, 성주굿, 조왕굿 등으로 이루어지는 영남지방의 일반적인 지신밟기소리보다는 중부지방의 고사덕담에 가깝다. |
가사 | 어허이루 지신아
지신아 대신아 지신아 해동은 조선국 너희 나라는 용왕국 우리야 나라는 대한국 이씨 하양1) 등극시에 한양터를 매련하고 충청도 나리와 칠십일조를 매련하고 경상도 나리와 제비원을 매련하고 상주같은 서문안에 위나무 가지가 떨어져 이집 대주야2) 쥔양반 용두머리다3) 터를 닦아 좌청룡 좌를 놓고 우청룡 우를 맞차 이집 지은 대목아 김대목이나 지었나 이대목이나 지었나 박대목이나 지었나 삼대목이나 지었지 사모에 핑경달아 동남풍이 건듯하면 핑그릉 소리가 찬란하네 이집 대주야 쥔양반 일년 액을 씻자하니 일년 액을 풀고가세 정이월이라 드는 달 이월 한식으로 막아주자 삼사월이라 드는 달 사월 초패일 막아주자 오뉴월이라 드는 달 유월 유두로 막아주자 칠팔월이라 드는 달 팔월에 한가외 막아주자 구시월이라 드는 달 구월구일로 막아주자 동지섣달 드는 달 섣달 그믐으로 막아주자 이집 대주야 쥔양반 일년 액을 씨자 하니 일년 액을 풀고 가세 동지 섣달 드는 달 섣달 그뭄으로 막아주자 이집 대주야 쥔양반 먼데 출읍을4) 하시거등 질로 액살을 막아주자 이집 대주야 쥔양반 먼데 출읍을 하시거등 질로 액살도 막아주자 이집 대주야 쥔양반 먼 데 출읍을 하시거등 거야 액살도 막아주자 이집 대주야 쥔양반 일년 액을 씨자 하니 산으로 가면은 산신살 물로 가면은 용왕살 절로 가면은 절영살 대청 마루에 성주살 삽작 거레는 거림살 수채구녕에 버린살 이 빅 저 벽에 벽해살 양요강에는5) 부여살 햇대 끝에는 능매살 실강깐에는 삼신살 이 살 저 살 몰아다가 진주월강에 소멸하세 잡귀잡신은 물알로 만고복덕은 이댁으로 어허이루 지신아 1) 하양 : 한양(漢陽). 2) 대주(岱主) : 남자 주인. 3) 용두머리 : 용의 머리 형국의 좋은 터. 4) 출읍 : 출입(出入). 5) 양요강 : 양요방, 양쪽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