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상주군 초산동 쌍암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육종덕, 함이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육종덕, 후창/함이달 외 |
지역개관 | 상주군 초산동 쌍암마을 북쪽 일곱 마지기 배미에 칠성바위가 있고, 남쪽 엿마지기 복판에 칠성바위가 있다. 또 서마지기 밭에 가면 샛별바위가 있어서 이렇게 쌍암이라고 부른다. 서쪽에 큰 바위가 있었는데, 경지 정리하면서 정자나무 곁에 묻었다. 마을은 약 63호 내외가 살며, 모두 각성바지이다. 마을은 주로 논농사를 한다. 상주초산농요의 고장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7일에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초산동 쌍암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육종덕, 함이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는 소리가 일의 순서에 따라서 일관되게 정리되어 있는 노래이다. 이 마을이 여러 번 민속경연대회에 나간 경험이 있기 때문에 다듬어진 형태의 민요를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선창자는 아이논매기에는 소오니소리를 하며 두벌논매기에는 방아소리를 논매기를 마무리할 때는 절로소리를 부른다고 한다. |
가사 | <소오니소리>
비가 오네 비가 오네 우장 입고 논을 매세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 한다 여보시오 농부들아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 한다 요 내 말씀 들어보소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한다 오곡을 어느 누가 내 놨는가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한다 신농씨가 내 놨다네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한다 일년 농사 지어보세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한다 오늘 논은 박두불네 논이라네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한다 앞뜰이도 매여주세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한다 다 매였네 다 매였네 알뜰이도 다 매였네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한다 우장 벗고 두불논 매세 에헤 소오니 절로한다 오호야 에헤야 에하 소오니 절로간다 <방아소리> 에히요 방헤야 에히요 방헤야 이 방아가 누 방안가 에히요 방헤야 강태공의 조작방아 에히요 방헤야 강태공은 어디를 가고 에히요 방헤야 방아만 놀아난다 에히요 방헤야 매여주세 매여주세 에히요 방헤야 박두불네 논 매주세 에히요 방헤야 이 논자리 들어서니 에히요 방헤야 줄논 같이도 지섰구나 에히요 방헤야 알뜰이도 매여주세 에히요 방헤야 <절로소리> 절허구 저러구 한다 절허구 저러구 한다 앞뜰에는 오논 답이요 절허구 저러구 한다 뒷뜰에는 보리 답일세 절허구 저러구 한다 물 말랐다 건천답이요 절허구 저러구 한다 상주 초산 찹살빌세1) 절허구 저러구 한다 나도 많다 노인찰이요2) 절허구 저러구 한다 껄껄 푸드득 장기찰일세3) 절허구 저러구 한다 <상사소리> 에히요 상사디야 에히요 상사디야 에히요 상사디야 에히요 상사디야 에히요 상사디야 에히요 상사디야 <옹헤소리> 옹헤 옹헤 옹헤 옹헤 <오우사소리> 오우사 오우사 오우사 오우사 오우야 우야 <칭칭이> 치나 칭칭 나네 치나 칭칭 나네 다 매었네 다 매었네 치나 칭칭 나네 줄논4) 같이도 지슨5) 논을 치나 칭칭 나네 알뜰이도 다 매었네 치나 칭칭 나네 장하도다 장하도다 치나 칭칭 나네 우리야 일꾼들 장하도다 치나 칭칭 나네 가세 가세 집으로 가세 치나 칭칭 나네 꽃같은 마누라 기다린다 치나 칭칭 나네 낮에는 일꾼이고 치나 칭칭 나네 밤에는 신선일세 치나 칭칭 나네 사랑 사랑 내 사랑아 치나 칭칭 나네 참된 사랑이 내 사랑이로다 치나 칭칭 나네 사랑이 불같으면 치나 칭칭 나네 가슴인들 안 탈손가 치나 칭칭 나네 가슴만 탈 뿐 아니라 치나 칭칭 나네 온몸 전신이 다 타노라 치나 칭칭 나네 창 밖에 국화를 심어 치나 칭칭 나네 국화 밑에다 술 빚어 놓고 치나 칭칭 나네 술 익자 국화꽃 피자 치나 칭칭 나네 달도 뜨자 님 보네 치나 칭칭 나네 동녀야 국화주 걸러라 치나 칭칭 나네 오날 저녁에 맘껏 놀자 치나 칭칭 나네 (“자 여보게 이제 한 잔 먹고 하세 ”) 1) 찹살빌세 : 찹살벼일세. 2) 노인찰 : 옛날 찰벼 품종의 하나. 3) 장기찰 : 옛날 찰벼 품종의 하나. 4) 줄논 : 바닥이 안보일 정도로 잡초가 우거진 논, 못쓰게 된 묵은 논. 5) 지슨 : 풀이 우거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