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부모죽은 편지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상주군 청리면 청하리 사창마의 부모죽은 편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안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임안심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상주군 청리면 청하리 사창마는 본래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청하리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각성바지로 95가구 350여명이 살고 있다. 밭농사를 많이 하는 농촌인데, 부녀요가 많이 채록된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8일에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청리면 청하리 사창마에서 채집한 부모죽은 편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안심이 참여하였다. 밭을 매다가 친정에서 부고가 왔지만 시집살이에 바빠 친정으로 늦게 왔다고 오빠, 언니가 추궁을 한다는 내용이다. |
가사 | 알쏭 달쏭 금송아지 곱기 믹여 길러내서
저짝 건네 비알밭은 은쟁기로 갈아다가 놋쟁기로 미야내서 수간댈랑1) 목화 갈고 마른 댈랑 삼씨 넣고 골골마다 떨깨 넣고 반골이라 매고낭께 까막깐치 송사오네 두골 반을 매고 난께 흰깐치가 부고 오네 댕기 풀어 품에 넣고 달비 풀어 남케 걸고 오동 오동 오다보니 친정꺼지 당도했네 삽짝 밖에 들어선깨 쑥덕공사 하는구나 삽작안에 들어선께 널판소리 진동하네 마당 안에 들어선께 우리 올배 하는 말이 산이 높아 못왔드냐 물이 깊어 못왔드냐 어서 바삐 가라서네 쌀 한띠기 가이나 가마 꾸정물이 남아와도 성 소 먹지 내 소 먹나 누릉밥이 남아와도 성 개 먹지 내개먹나 삽짝 밖에 소리내네 1) 수간댈랑 : 물이 있는 곳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