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상주군 이안면 여물리 한가뫼의 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흥오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흥오남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상주군 이안면 여물리 한가뫼는 예전에는 130여호가 되었으나, 현재 70호 정도이다. 함령 김씨가 40호, 나머지는 타성바지이다. 이 마을의 특징은 반촌이다. 마을 앞에는 여물천이 흐르고, 대평들이 넓게 펼쳐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27일에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이안면 여물리 한가매(한가뫼)에서 채집한 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오남이 참여하였다. 이의 생김새에 견주어서 갖가지 사설을 엮어 나가는, 이노래의 원형으로 짐작되는 노래이다. 이가 사람의 몸과 머리에 붙어살면서 잘 먹고 지내다가 잡혀서 손톱에 눌려 죽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
가사 | 이야 이야 들어봐라 니 주딩이 빼족하면
우리 나라 의병대장 죽을 적에 말 한마디 해여 봤나 이야 이야 들어봐라 니 등어리 넓적하면 우리 나라 좌수별감 집질 적에 돌 한 짐을 지여 봤나 이야 이야 들어봐라 니 복쟁이 시컨먼들 오장육보 생겨봤나 이야 이야 들어봐라 니 배다리 뽈록한들 쪽쟁이가 생겨봤나 이야 이야 들어봐라 니 발이 육발이먼 십리출입 해여봤나 이야 이야 들어봐라 너 갈 질은 뒷동산 잔솔밭에 박속바위 뒤구이라 박속바우 들어가먼 먹을 것도 진진나고 친구 벗이 많다하니 (“이여 이가 그 소리를 듣고서, 갈에 갈라랑니더러”) 가랑아 가랑아 잘 있거라 (“시랭이 잘 키우라고”) 시랭이게도 잘 있거라 후손이나 이서코로 나는 나는 뒷동산에 잔솔밭에 박속바우 들어가먼 송송바우 만내노면 올똥말똥 할 것이나 (“뒷동산에 잔솔밭에 가이꺼네, 얼마나 먹을 건 많은데, 그 흐언데가 나라서 그 피고름이 나가”) 친구벗도 많을 끼고 먹을끼도 많을 끼고 (“그가이 먹을께 얼마나 많아요, 거 가서 대대로 먹다가 송송바우 만나가지고 고만 잡아내고 우당탕 퉁탕 퉁탕자기다 죽이드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