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등 너메라 첩을 두고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상주군 사벌면 화달리 달천의 등 너메라 첩을 두고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824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상주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상주군) 사벌면 화달리 달천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7 , 등너메라첩을두고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경상북도 , 경북 , 상주시 , 1993 , 1995 , 등 너메라 첩을 두고 , 장숙진 , 독창 , |
실연자 | 장숙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장숙진 |
지역개관 | 상주군 사벌면 화달리 달천의 예전 명칭은 달천(達川)이었다. 마을이 처음 형성될 무렵인 신라시대에 유명한 풍수가 지나다가 두 강이 합칠 뿐만 아니라, 마을 한 가운데를 내가 흐르면 마을이 발전할 것이라 하여 달천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마을은 90호 정도이고, 경주 김씨 30호, 경주 이씨 10여호이다. 마을은 주로 논농사를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24일에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사벌면 화달리 달천에서 채집한 등 너메라 첩을 두고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숙진이 참여하였다. 본부인과 첩의 갈등을 그린 노래이다. 첩을 응징하러 갔다가 첩의 모습을 보고는 체념하고 돌아오는 부인네의 심정이 담겼다. 이런 사설은 경상북도의 모심는 소리에서 많이 나온다. |
가사 | 달이 떴네 달이 떴네 연당 앞에 달이 떴네
저기 저기 저 달은 방니바우1) 달일런가 방니바우 어데 가서 저 달뜬 줄 모르는가 등넘에라 첩을 두고 첩의 방에 놀러갔네 큰어머님 하는 말이 송곳같은 이를 갈아 등넘이를 당도하니 꽃방석을 내트리미 여 앉으소 저 앉으소 어라 요년아 듣기도 싫다 꽃방석은 내사 싫고 짚단이 한장 내 재릴세 여자 눈에 저러커등 남자 눈에 이런하리2) 손뚝치가 저러커든 먹음샌들 이런하리 입모슴이 저러커든 빗모슴이 이런하리 눈구석이 저러커든 방구석인들 이런하리 손뚝치가 저러커든 먹음샌들 이런하리 어라 요년 보기도 싫다 왔던 길을 회향해서 단두 걸음에 달려왔네 1) 방니바우 :박이방(吏房)의 2) 이런하리 : 어련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