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정하신 울 엄마야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성주군 수륜면 수륜경로당의 무정하신 울 엄마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1200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성주군 |
생산지역 상세 | 수륜면 수륜경로당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7 , 무정하신울엄마야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경상북도 , 경북 , 성주군 , 1994 , 1995 , 무정하신 울 엄마야 , 김순조 , 독창 , |
실연자 | 김순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조 |
지역개관 | 성주군 수륜면은 들마을이다. 현재 36호 정도가 산다. 동제를 지내고 있으며, 마을 구성원은 모두 각성바지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2월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경로당에서 채집한 무정하신 울 엄마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조가 참여하였다. 자식을 두고 시집간 엄마를 원망하는 내용이다. |
가사 | 강남국서 나온 제비
벽산에다가 집을 지여 온갖 벌거지 다 물어다가 새끼 칠 줄을 아시는데 뒷뜰에라 배차 숭거 속닢겉은 우리 엄마 임으 정도 좋건마는 자식의 정리를 띠고 가나 자빠져도 우리 엄마 엎더져도 우리 엄마 엄마같이 좋은 자공1) 임으 정도 좋지마는 자공 정을 띠고 가나 무정하신 울 엄마야 1) 자공 : 자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