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울아버지 지발랑가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성주군 수륜면 수륜경로당의 울아버지 지빌랑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1200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성주군 |
생산지역 상세 | 수륜면 수륜경로당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7 , 울아버지지빌랑가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경상북도 , 경북 , 성주군 , 1994 , 1995 , 울아버지 지발랑가 , 김금연 , 독창 , |
실연자 | 김금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금연 |
지역개관 | 성주군 수륜면은 들마을이다. 현재 36호 정도가 산다. 동제를 지내고 있으며, 마을 구성원은 모두 각성바지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2월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경로당에서 채집한 울아버지 지발랑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근연이 참여하였다. 아버지는 죽고 어머니는 후실 살러가자 아이가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부르는 노래이다. 가창자가 13세 무렵에 배웠는데 노래의 앞부분만 기억하고 있다. 명을 잣으면서 많이 불렀다. |
가사 | 울 아부지 지빌랑가1)
집만 짓고 가고 없네 우리 엄마 나빌런가 알만 씰고2) 가고 없네 춘삼월 호시절에 꽃은 피어 만발하고 잎은 피어 청산될 때 학아 머리 꽃이 피어 그 꽃 꺾어 손에 들고 우리 찾아 오실런가 1) 지빌랑가 : 제비일런가 2) 씰고 : 쓿고, (알을) 낳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