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보리타작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안동군 서후면 저전리 모시밭의 보리타작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차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조차기 외 |
지역개관 | 모시밭 마을의 이름은 6.25전까지 모시를 많이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6.25전까지 모시를 많이 했는데,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마을의 역사는 450여년 정도 되었다. 동제는 사변 전까지 지냈으나,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이 마을 가구 수는 228호. 이중에서 210여호가 한양 조씨들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5일에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서후면 저전리 모시밭에서 채집한 보리타작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차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전형적인 2음보 형식의 보리타작 노래이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선소리가 1음보 또는 2음보로 되어 있으나, 이 마을에서는 3음보로 길게 하는 것이 독특하다. |
가사 | 호호야 호호이
호호야 호호이 이 눔의 보리가 사알살 긴다 호호야 호호이 총각의 보리라 왜 이리 기노 호호야 호호이 아재나 보리라 살살기노 호호야 호호이 처자 보리라 품 안에 든다 호호야 호호이 이 모 저 모 염아 드려라1) 호호야 호호이 앞다리 덜렁 들어놓매 호호야 호호이 쿵쿵이 때래 줘라 호호야 호호이 호호야 호호이 호호야 호호이 이 놈의 보리가 때래줘도 호호야 호호이 지 멋대로 춤만 친다 호호야 호호이 뒤에 섯는 후렴꾼아 호호야 호호이 보리집 자 빨리 끌어내라 호호야 호호이 춘애기2) 바빠 밥이 챈다3) 호호야 호호이 호호야 호호이 호호야 호호이 1) 염아 드려라 : 흐트러진 것을 모아 주어라. 2) 춘애기 : 큰애기. 3) 챈다 : 재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