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효자가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안동군 와룡면 가구리 태골의 내방가사-효자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희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희서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안동군 와룡면 가구리 태골은 종가집이 많이 있는 전통마을이다. 마을 할머니들은 내방가사를 많이 외우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에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와룡면 가구리 태골에서 채집한 효자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희서가 참여하였다. 효자가의 앞부분이다. 가창자가 40세 전후에 친구로부터 받은 문서라고 한다. |
가사 | 가는 세월 잡아볼까 인생백발 막아볼까
몽중화초1) 피었다가 찬 바람에 낙화되니 유수같이 흘러가네 이팔청춘 소년들아 백발 부모 괄세마라 너 늙으면 백발 온다 나 늙으면 백발이라 오는 백발 더욱 섧다 가는 청춘 홍안이요 인생 백발 닥쳐오니 백발 두자 누가 냈노 북망산이 날 오라네 어화 세상 청춘들아 이내 말쌈 들어보소 우리 부모 나를 낳아 애지중지 기를 적에 쓴 것 단 것 맛 봐 가며 진 자리 마른 자리 가려가며 기를 적에 금지옥엽 사랑하고 무릎 위에 올려놓고 어화 둥둥 내 사랑아 칠기청산 보밸런가 만첩산중 배옥동아 가정에는 효자동아 나라에는 충성동아 눈진산에 꽃송이냐 얼음 궁기 수달피냐 어화둥둥 내 사랑아 은을 주며 너를 사랴 금을 주면 너를 사랴 금도 은도 소용없다 우리 자식 제일이라 이럭저럭 길러 내여 영화를 보럈더니 영화는 간 곳 없고 불초만 늘어가네 부모은덕 누가 알꼬 부모 마음 어떻더냐 일촌 간장 맺힌 서름 부모 간장 다 녹는다 너도 자식 길러 봐라 자녀 길러 서름 속에 고생 고생 기르지만 자녀 길러 서른 마음 누구에게 하소할까 자식 좋다 누가 했노 서름 속에 눈물 진다 부모님께 불효한 거 마디 마디 후회로다 고통서름 닥쳐오니 이팔청춘 인간사 만인 대중 물어보세 부모 봉양 섬겨 보세 부모 은공 다할쏘냐 가슴 속에 못을 박고 불초한 것 후회로다 백발부모 원망마소 삼강오륜 모르거든 명심보감 자습하라 인생평생 허무한데 부모공을 잊지 마라 1) 몽중화초(夢中花草) : 꿈 속의 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