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기푸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의 고기푸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도식, 최종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김도식, 후창/최종성 외 |
지역개관 |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은 그 내력이 깊을 뿐만 아니라, 소리로 이름이 높은 고장이다. 이 마을은 해안가를 따라 발달한 어촌이다. 마을이 일제 수산업의 침탈을 받지 않아 뱃소리와 갖가지 어업이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게 되었다. 마을 어른이 모두 장수를 하는 것도 특이하다. 마을에 동제당이 있고 현재에도 당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3일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서 채집한 고기푸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도식, 최종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그물로 잡은 고기를 가래로 퍼 올릴 때 부르는 소리이다. 육지의 가래소리와 기본적인 선법은 같다. 육지의 가래소리가 역동적이고 경쾌한데 비하여, 고기 푸는 소리는 구성지고 느리다. 이 노래의 후렴은 에허 가래요로 되어 있는데, 경상도 해안 가래소리의 후렴은 주로 에랑성 가래요이다. 가창자 중에서는 후렴을 달리하여 에랑성 가래요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
가사 | 에허 가래요
에허 가래요 가래소리가 여기서 난다 에허 가래요 동해바다 가는 고기 에허 가래요 용왕님이 지수한1) 후 에허 가래요 우리 어장에 만선이다 에허 가래요 어기여 디여차 땅가주소 에허 가래요 괴기머리가 돌아간다 에허 가래요 어기여 디여차 땅가주소 에허 가래요 가래소리 듣기도 좋고 에허 가래요 먼데 사람 보기도 좋고 에허 가래요 금은 동출이2) 여기여 나고 에허 가래요 우리 마누라 금가락지도 에허 가래요 여게서 나는구나 에허 가래요 정승판사도 여기여 난다 에허 가래요 1) 지수 : 제수(際授). 베풀었다는 뜻. 2) 동출 : 동철(銅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