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달넘세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의 월워리청청노래-달넘세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봉실, 이봉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최봉실, 후창/이봉두 외 |
지역개관 |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은 그 내력이 깊을 뿐만 아니라, 소리로 이름이 높은 고장이다. 이 마을은 해안가를 따라 발달한 어촌이다. 마을이 일제 수산업의 침탈을 받지 않아 뱃소리와 갖가지 어업이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게 되었다. 마을 어른이 모두 장수를 하는 것도 특이하다. 마을에 동제당이 있고 현재에도 당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3일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서 채집한 달넘세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봉실, 이봉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월워리청청을 하면서 하는 놀이로서 달넘기라 부르기도 한다. 자진모리로 부르는 노래의 가락에 맞추어 일렬로 돌면서 손잡기, 뛰어 넘기, 빠른 걸음의 외발 겹쳐 뛰기 등의 동작으로 돌면서 노래하며 춤춘다. |
가사 | 금빛겉은 옷을 입고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샛별겉은 갓을 쓰고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백두말로 훌쳐 타고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구름겉은 정자밑에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살대겉이 가시더니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냉수겉은 맑은 물에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빨래 씻는 저 큰아가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그 빨랠랑 나여 두고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나의 품에 정트거라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정들기는 어렵지 않어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빨래씻기가 늦어가네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언제 밨는 도련님이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나를 보고 정들어 하노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울 아부지가 들었시면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청두화리1) 무러질세2)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울 엄마가 들었시면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초매끈에 목을 맬세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울 오빠가 들었시면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서울 뒷산이 무러질세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울 형님이가 들었시면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말이야 호동동3) 울릴레라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우세로다 우세로다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대수간에도4) 우세로다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엄마 엄마 울엄마요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이내 날랑 죽거들랑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앞산에도 묻지마고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뒷산에도 묻지마고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연밭둑에다 묻어주소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연꽃이가 패거들랑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가는 사람 오는 사람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짚은 눈물 띠가주소5) 달넘세 달넘세 달이나쿵쿵 달넘세 1) 청두화리 : 청동화로. 2) 무러질세 : 무너질세. 3) 호동동 : 쿵쿵. 4) 대수간 : 집안의 대소간. 5) 띠가주소 : 흘려주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