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송아지따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의 월워리청청노래-송아지따기1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봉두, 최봉실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이봉두, 나/최봉실 외 |
지역개관 |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은 그 내력이 깊을 뿐만 아니라, 소리로 이름이 높은 고장이다. 이 마을은 해안가를 따라 발달한 어촌이다. 마을이 일제 수산업의 침탈을 받지 않아 뱃소리와 갖가지 어업이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게 되었다. 마을 어른이 모두 장수를 하는 것도 특이하다. 마을에 동제당이 있고 현재에도 당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3일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서 채집한 송아지따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봉두, 최봉실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월워이청청의 한 과정으로서 재밟기,대문열기 등의 놀이와 같이하면서 노는 노래이다. 놀이꾼 전원이 앞사람의 허리를 붙들고 늘어서 있으면, 선도자는 이들을 대립해 서 있다가 송아지따기 소리를 부르면서 한사람씩 떼어 낸다. 이때 잡아 떼인 사람은 좌우로 갈라져서 일렬횡대로 나가 앉는다. |
가사 | 가 : 저 달 봤나
나 : 난도 봤다 가 : 저 해 봤나 나 : 난도 봤다 가 : 저 구름 봤나 나 : 난도 봤다 가 : 저 물 봤나 나 : 난도 봤다 가 : 저 빌 봤나 나 : 난도 봤다 가 : 저 배 봤나 나 : 난도 봤다 가 : 저 사람 봤나 나 : 난도 봤다 가 : 저 돌 봤나 나 : 난도 봤나 가 : 저 나무 봤나 나 : 난도 봤다 가 : 우리 소아지 어디 갔노 나 : 음 메 가 : 돌아간다 돌아간다 나 : 물레 실실 돌아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