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송아지따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의 월워리청청노래-송아지따기2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봉두, 최봉실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이봉두, 나/최봉실 |
지역개관 |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은 그 내력이 깊을 뿐만 아니라, 소리로 이름이 높은 고장이다. 이 마을은 해안가를 따라 발달한 어촌이다. 마을이 일제 수산업의 침탈을 받지 않아 뱃소리와 갖가지 어업이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게 되었다. 마을 어른이 모두 장수를 하는 것도 특이하다. 마을에 동제당이 있고 현재에도 당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3일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서 채집한 송아지따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봉두, 최봉실이 참여하였다. 선창자는 이 노래의 사설로 외따기, 꼬깨놀이에 두루 사용했다고 한다. 월워리청청 놀이를 하는 중에 여러가지 놀이와 노래가 뒤섞여 사용된 것으로 짐작된다. |
가사 | 가 : 어데 양반 왔었노
나 : 서울 양반 왔었네 가 : 무슨 말을 타고 왔노 나 : 하얀 백말을 타고 왔다 가 : 무슨 옷을 입고 왔노 나 : 무자쾌자를1) 입고 왔네 가 : 무슨 띠를 매고 왔노 나 : 광대 띠를 매고 왔다 가 : 무슨 맹건 씨고 왔노 나 : 조리맹건을2) 씨고 왔네 가 : 무슨 갓을 씨고 왔노 나 : 통양갓을3) 씨고 왔다 가 : 무슨 버선 신고 왔노 나 : 삼상버선을4) 신고 왔네 가 : 무슨 신을 신고 왔노 나 : 육날이미틀을5) 신고 왔다 가 : 우리 사지6) 어데 갔노 나 : 음매 가 : 돌아간다 돌아간다 나 : 물레 실실 돌아간다 가 : 우리 사지 떼라 간다 나 : 음매 1) 무자쾌자 : 무수쾌자(無袖快子). 소매 없는 쾌자. 2) 조리맹건 : 갓속에 쓰는 작은 망건. 3) 통양갓 : 통영갓(統營-). 통영군에서 생산되는 좋은 갓. 4) 삼상버선 : 삼승(三升)버선. 삼승은 몽고(蒙古)에서 나는 무명의 한 가지. 5) 육날미틀 : 육날미투리. 촘촘하고 고운 미투리. 6) 사지 : 송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