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삼삼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덕군 강구읍 화전리 연화의 삼삼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순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순남 |
지역개관 | 연화 마을은 지리적으로 강구에서 2㎞ 서쪽에 위치한다. 오십천이라는 개울의 서쪽에 있다. 마을은 세 개의 자연 부락으로 되어 있다. 마을의 속칭은 꽃동네라고 한다. 5월 단오일에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9월 28일에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강구읍) 화전리 연화에서 채집한 삼삼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순남이 참여하였다. 가창자가 삼삼는 동작을 하면서 자신의 심정을 담아 불렀다. |
가사 | 청도 밀양 진삼가리 하도 밀양 뻗쳐 놓고
한 개 두 개 줏어 삼아 누 옷으로 해줄끼나 이 올 저 올 갈려가주 서방옷을 해여 주니 이 서방은 어델 가고 돌아올 줄 모르니까 엄마 엄마 울엄마야 날 고생을 왜 시기노 어찌 하야 날 치와서 요렇게도 고생시겨 아이구 아야 아이구 아야 나 쟁갱이에 피난 봐라1) 피가 나도 적게 나나 아이구 아야 아이구 아야 1) 정강이에 피나는 것 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