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이선달네 맏딸애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덕군 달산면 옥산리의 이선달네 맏딸애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305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영덕군 |
생산지역 상세 | 달산면 옥산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8 , 이선달네맏딸애기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경상북도 , 경북 , 영덕군 , 1993 , 1995 , 이선달네 맏딸애기 , 권분순 , 문추연 , 제창 , |
실연자 | 권분순, 문추연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권분순, 문추연 |
지역개관 | 달산면 주응2리에 살고 있는 가창자 권분순은 달산면 옥산리에서 녹음을 하였다. 주응2리는 중산간 마을이다. 속칭은 매방구로 매가 날으는 형국을 하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5일에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옥산리에서 채집한 이선달네 맏딸애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분순, 문추연이 참여하였다. 경북지방의 대표적인 서사민요. 잘났다고 소문난 이선달네 맏딸애기가 유혹을 거절하는 남자에게 저주를 퍼부어서 마침내 남자가 죽는다는, 상식을 뛰어넘는 내용이다. 가창자에 따라서는 남자 죽는 부분은 빠지고 이생원네 맏딸애기의 치장치레만 나열되는 수도 있다. |
가사 | 이선달네 맏딸애기
하도 잘나 소문났네 한본 가도 못볼네라 두변 가도 못 볼레라 삼시변 거들 가니 밀창문을 밀쳐 놓고 달창문을1) 달쳐 놓고2) 걸창문에 걸안져여3) 저기 가는 저 선배는 귀걸이야 희는4) 방에 매새끼야 기는 방에 요내 방에 자고 가소 말이사 좋거마는 길이 바빠 못 자겠소 한 모롱이 돌거들랑 총살이나 마자 죽소 두 모롱이 돌거들랑 활살이나 맞아 주소 삼시 모롱이 돌거들랑 베락이나 맞아주소 대로청에5) 들거들랑 사모관대 어러지고 저녁상을 뜨거들랑 겉머리야 속머리야 우야지야6) 알가주소7) <가창자가 문추연으로 바뀜> 그 선배야 거동 보소 이사원네 맏딸애기 하도 잘나 소문 나서 머리치장 볼짝시니 구름겉이 흔턴 머리 반달겉은 용얼개로8) 어리 실실 갈라내여 용초 댕기9) 금박 물례10) 허리 넘에 넝쳐 놓고 저고리치장 볼짝시니 오색단장 곱게 옇고 치마치장 볼짝시니 물명지라11)곱은 처마 허리질쑴 잘라 매고 바지치장 볼짝시니 물명지라 쪼골바지 주름 처서 곱게 입고 발새치장 볼짝시니 외씨같은 접보선을 두발 담쑥 담어 신고 하도 잘나 소문 나서 이사원네 맏딸애기 다시 한 번 더 봤구나 1) 달창문 : 접문. 2) 달쳐놓고 : 열어놓고. 3) 걸안져여 : 걸터 앉어. 4) 희는 : 반짝이는. 5) 대로청 : 결혼식장. 6) 우야지야 : 아파 죽는 것. 7) 알가주소 : 아프게 해 주소 8)용얼개 : 용얼레빗. 9) 용초댕기 : 궁초댕기(宮초-). 궁초는 비단의 일종. 10) 물례 : 물려. 11) 물명지 : 물명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