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덕군 달산면 옥산리의 메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분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권분순 |
지역개관 | 달산면 주응2리에 살고 있는 가창자 권분순은 달산면 옥산리에서 녹음을 하였다. 주응2리는 중산간 마을이다. 속칭은 매방구로 매가 날으는 형국을 하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5일에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옥산리에서 채집한 메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분순이 참여하였다. 메밀노래에 서사민요가 합쳐진 노래이다. 메밀국수 만드는 과정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뒤에 낭군이 오지 않아 목을 매고 죽는다는, 흔히 베틀노래에 들어가는 내용이 덧붙여져 있다. |
가사 | 앞집이야 동서들아 뒷집이야 동서들아
메물 가든 사흘만에 메물 구경 가자스라 대 중에도 뿔근 댈레 잎 중에도 떡잎일레 꽃 중에도 흰꽃일레 열매 중에 깜등 열매 짚단 한 단 옆에 끼고 깔딱낫을1) 손에 들고 줌줌이 비어내여 단단이 묶어내여 바리바리 실여들여 울탈 밖에 막을 지어 마당 안에 디쳐 디레 도리깨를 베락 맞차 싸리비로 술려내여 풍디기를2) 바람 맞차 마대에 대 내여 쪽박 조레 건져내여 열두 멍석 말어내여 방아 방적3) 찧어 내여 안반에다 분을 발라 홍두깨다 옷을 입혀 은장도야 드는 칼에 어석어석 쌀어내여 느니는정4) 삶아 내여 은대집에 오복소복 놋대집에 오복소복 은대집에 은절 걸고 놋대집에 놋절 걸고 올러가는 구관행차 내러오는 신관행차 국실 한절5) 잡으시오 먹기는 먹지마는 우리 선배 안 오든가 오기는 오지마는 칠성판에 실려 오데 아이고 답답 나 일이여 우리 엄마 들어서면 앞동산이 무너지고 울아부지 들어서면 뒷동산이 무너지고 우리 동생 들어서면 뒷동산 다래남개 목을 메여 늘어지고 죽고재라 죽고재라 명지 전대 목을 메여 자는듯이 죽고재라 요 내 날랑 죽거들랑 앞산에도 묻지 말고 뒷산에도 묻지 말고 전대산에 묻어 주소 전대꽃이 피거들랑 눈물 한쌍 지워주소 1) 깔딱낫 : 작은 낫. 2) 풍디기 : 풍구. 3) 방하방적 : 방아찧는 것. 4) 느니는정 : 빠르고 능숙하게. 5) 한절 : 한 접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