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비야 나비야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양군 수비면 신원리 풍촌의 나비야 나비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안분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안부녀 |
지역개관 | 영양군 수비면 신원리 풍촌은 영양군과 울진군 백암온천 접경에 위치한 해발500m의 산간마을이다. 마을에는 주로 밭농사가 많으며, 예전에는 고추나 담배를 많이 했다. 현재는 고추가 으뜸가는 마을 작물이다. 마을에는 약 44호가 살고, 마을사람은 120여명 내외이다. 음력 정월 15일에 문수당 당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17일에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신원리 풍촌에서 채집한 나비야 나비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안분녀가 참여하였다. 가창자가 어린 시절에 고향인 울진군 평해에서 배운 노래라고 한다. 이 노래는 친구들과 놀 때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나비야 나비야 분홍나비야
능금시상 물어다가 물 가운데 집을 져여 그 집 짓던 삼년만에 도리도리 샛갓집에1) 노망태로2) 얽은 집이 주먹으로 빼친 집에 우리 아배 서울양반 우리 어매 진주띠기3) 울 오라베 칼 찬 선배 우리 형님 장구땍이 안반으는4) 밀양 가고 홍두깨는 골로 가고5) 명태 껍지6) 촌에 오고 눈꼽지기7) 들로 가네 1) 샛갓집 : 삿갓집. 작은 초가집. 2) 노망태로 : 삼끈으로 만든 망태. 3) 진주띠기 : 진주댁. 택호. 4) 안반 : 도마보다 큰 것. 5) 골로가고 : 산골로 간다는 뜻. 6) 껍지 : 껍질. 7) 눈꼽지기 : 좁쌀의 일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