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써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양군 석보면 답곡리 논실의 풀써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현정, 박정락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이현정, 나/박정락 |
지역개관 | 논실마을 역사는 꽤 오래되었다. 고고학적 유물인 돌창, 돌화살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서 마을의 내력이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마을 앞에는 장수나무산이 있으며, 장수나무산은 군의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장수나 무산 맞은 편에는 발검(發劍)이라고 하는 장수 손 뻗친 혈맥이 있다. 마을은 예전에는 80호가 살았으나, 현재는 40여호가 산다. 정월 16일에 당제를 지낸다. 당에 모신 신격은 안씨 터전에 광산 김씨 골매기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10일에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답곡리 논실에서 채집한 풀써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현정, 박정락이 참여하였다. 디딜작두(발작두)로 풀을 썰면서 하는 소리이다. 직접 작두질을 하면서 녹음했다. 작두에 풀을 먹이는 사람과 작두를 밟는 사람이 호흡을 맞추느라 소리를 하게 된다. 디딜 작두질을 할 때는 5명 안팎의 인원이 한 팀이 되어 소리를 하며 작업했다고 한다. 풀을 작두에 메겨주는 선창자가 작두를 밟는 사람에게 풀의 굵기와 성질을 알려 주어 디디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소리다. |
가사 | 가 : 여기가 어덴고
나 : 영양군 석보면 답곡동이다 가 : 누구의 풀인고 나 : 이현정이 풀이야 가 : 우러리다1) 나 : 호박이다2) 가 : 디뎌라 나 : 어야 가 : 잘도 한다 나 : 어야 가 : 우러리다 나 : 어 우러리지 가 : 꼭지 맨다리다3) 나 : 칡덤불이야 가 : 양지풀이다 나 : 어야 음지풀일세 가 : 처녀 젖가슴이다4) 나 : 호박 덤불이다 가 : 총각 신다리다 나 : 어이다 가 : 뫼셔라 나 : 어야 가 : 들어간다 나 : 어야 다 드갔다 가 : 얼씨구나 나 : 어야 가 : 잘도 한다 나 : 아야 가 : 호박 덤불이다 나 : 칡 덤불이다 가 : 국시풀이다 나 : 어야 싸리꼭지다 가 : 마른 풀이다 나 : 진 풀이다 가 : 잘도 한다 나 : 어야 가 : 얼씨구나 나 : 어 우러리다 어 우러리 가 : 우러리다 나 : 어야 싸리꼭지데이 가 : 어야 나 : 어야 가 : 디뎌라 나 : 그래 가 : 우러리다 나 : 어 우러리지 가 : 얼씨구나 나 : 어야 가 : 디뎌라 나 : 허벅새다 가 : 꼭지 맨다리다 나 : 어야 가 : 싸리비다 나 : 싸리비데이 가 : 대들보다5) 나 : 어야 1) 우러리 : 굵은 나무 2) 호박 : 호박처럼 무른 풀. 3) 꼭지 맨다리 : 질기고 긴 풀. 4) 처녀 젖가슴 : 부드러운 풀을 뜻함. 5) 대들보다 : 대들보처럼 굵은 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