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일구는소리(괭이질)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양군 청기면 토곡리 쭉골의 밭일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1119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영양군 |
생산지역 상세 | 청기면 토곡리 쭉골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9 , 밭일구는소리 , 괭이질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경상북도 , 경북 , 영양군 , 1993 , 1995 , 밭일구는소리(괭이질) , 박차숙 , 이사일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박차숙, 이사일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박차숙, 후창/이상일 외 |
지역개관 | 영양군 청기면 토곡리 쭉골은 영양군에서도 산간오지에 속하는 마을이다. 깊은 산골에 집들이 흩어져 있다. 마을 사람들은 고추나 콩 등 밭농사를 주로 한다. 마을에는 지금도 도깨비나 귀신이 나올 정도로 으시시하다고 한다. 8집에 24명이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18일에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토곡리 쭉골에서 채집한 밭일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차숙, 이상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괭이로 화전을 일구면서 하던 소리다. 이 마을은 산간오지여서 화전이 많이 있었다. 괭이질 소리는 선후창으로 부르는 것과 팔밭 쪼는 소리가 있는데, 선후창형식으로는 경북에서 이 곡이 유일하다. |
가사 | 에허 광이여1)
에헤 광이여 모여드소 모여드소 에헤 광이여 광이꾼들 모여드소 에헤 광이여 광애자루 무푸리나무 에헤 광이여 광이쐬는 광철쐰데 에헤 광이여 기역자로 광이 치여 에헤 광이여 니은자로 자리 끼워 에헤 광이여 어깨 미고 함께 모여 에헤 광이여 일심받어 쭈워주소 에헤 광이여 억새풀은 뿌리를 캐고 에헤 광이여 잡목을랑 요리만 치소 에헤 광이여 땀 흘려서 눈 몬뜨면 에헤 광이여 옷자락으로 딱어가며 에헤 광이여 배고파서 심 없거든 에헤 광이여 허리띠를 졸라 매소 에헤 광이여 이 팔밭을 이리 쪼아 에헤 광이여 콩심으고 서속 갈아 에헤 광이여 누캉 내캉 먹고 살꼬 에헤 광이여 조상님을 봉사하고 에헤 광이여 노부모님 봉양하세 에헤 광이여 장하도다 장하도다 에헤 광이여 괭이꾼이 장하도다 에헤 광이여 괭이 짓는 벼름칸에 에헤 광이여 이 안니 고마울까 에헤 광이여 중하도다 중하도다 에헤 광이여 대장깐이 중하도다 에헤 광이여 1) 광이 : 괭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