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풍군 이산면 내림리 수구리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연만, 정연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정연만, 후창/정연교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영풍군 이산면 내림리 수구리는 낙동강을 끼고 넓은 들이 발달해서 농사가 주업인 마을이다. 이 마을의 역사는 약 400여년 정도이고, 연일 정씨가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예전에는 약 70호 정도가 살았으나, 현재는 40호 120여명이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13일에 경상북도 영주시(영풍군) 이산면 내림리 수구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연만, 정연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두벌논매기 때 부르는 노래이다. 일을 시작하면서 느리고 유장하게 부르다가 잦은 소리로 몰아가 맺는다. |
가사 | <긴소리>
에 에헤 에 오우 오오 에헤 에헤 직녀성 거동 봐라 일년 삼백 육십일 그리든 임 손목 잡고 인산지 뭔지 목이 메여 말 못한다 맛좋은 주안상 들여놓고 포도주로 권할 적에 잡으시오 잡으시오 에 오호 에헤 에 에헤 에 오우 오오 에헤 에헤 남방죽 먹은 후에 들쳐 놓고 잠만 자니 원수로다 원수로다 주안산이1) 원수로다 일년 삼백 육십일에 그리든 임 만단설화 다 못하고 자축시가2) 된 듯하네 에 에헤 에 에헤 에 오우 오오 에 헤 <방아소리> 얼라히 방하요 얼라히 방하요 이 방하는 누 방한고 얼라히 방헤요 나라임의 옥방하요 얼라히 방헤요 얼럴러 방하요 얼럴러 방하요 <에히요소리> 에히요 에히요 에이야 소리 에히요 나시거든 에히요 술이나 먹고 에히요 잘도 한다 에히요 에호호 에히요 1) 주안산 : 주안상. 2) 자축시 : 자(子)시와 축(丑)시. 깊은 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