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달구지모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운수노동요 > 육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주시 가흥동 필두의 달구지모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인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인석 |
지역개관 | 필두마을은 180여년 전에 생겼고, 동제를 지내다가 지금은 하지 않는다. 필두농악이 보존되고 있다. 농사와 가축이 주업이다. 140호 420여명이 산다.이 마을은 단양 우씨와 의령 여씨의 집성촌이다. 마을 역사는 500년 정도이고, 의령 여씨가 선주하고 단양 우씨가 뒤에 왔다. 마을에는 83호가 사는데, 우씨 30호, 여씨 22호,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예전에는 논밭을 경작했으나, 현재는 수박재배가 주로 수입원이 된다. 정월 대보름에 유릉산(劉陵山) 제단에 동제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14일에 경상북도 영주시 상줄동(가흥동) 필두에서 채집한 달구지모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인석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소리를 고향인 예천에서 배웠다고 한다. 소모는 일을 오랫동안 했던 가창자여서 소리가 실감난다. |
가사 | 이랴 소야 어데 어데 어서 가자
오늘 가고 내일 가고 만날 가자 니도야 날과 같이 고생이 많다 천날 만날 일만 하니 그것이 무엇인고 어데 어데 (“이랴 어서 가자 이랴 보탈1) 한번 탁친다 말이라 가자고”) 이랴 이랴 이랴 이랴 저리 가고 이리 가고 저리 가면 아니 된다 사람이 말할 때로 그대로 가지 니 맘대로 갈거트면 내가 무엇으로 따라 댕기노 어데 어데 돌아 돌아 돌아간다 돌아간다 돌아간다 돌머리에 가가지고는 돌아야 가지 우예노 어서 어서 빨리 가자 빨리 가자 오늘 이때기 가면은 고만인데 오늘 못가면은 내일도 가고 내일 못가면은 모레도 가네 어서 어서 어서 어서야 빨리가자 니도 쉬고 난도 좀 쉬자 1) 보탈 : 보타리. 고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