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연자매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매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풍군 문수면 승문리 막현의 연자매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우상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우상기 |
지역개관 | 필두마을은 180여년 전에 생겼고, 동제를 지내다가 지금은 하지 않는다. 필두농악이 보존되고 있다. 농사와 가축이 주업이다. 140호 420여명이 산다.이 마을은 단양 우씨와 의령 여씨의 집성촌이다. 마을 역사는 500년 정도이고, 의령 여씨가 선주하고 단양 우씨가 뒤에 왔다. 마을에는 83호가 사는데, 우씨 30호, 여씨 22호,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예전에는 논밭을 경작했으나, 현재는 수박재배가 주로 수입원이 된다. 정월 대보름에 유릉산(劉陵山) 제단에 동제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1일에 경상북도 영주시(영풍군) 문수면 승문리 막현에서 채집한 연자매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우상기가 참여하였다. 소를 메워 몰아 연자매를 돌리면서 부른 소리이다. 연자매를 만드는 과정, 식구에게 먹이기 위해 쌀을 찧는 일 등이 나와 있다. 30여년전 마을에서 어른들이 부르는 소리를 듣고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성금사가1) 생겨 있고 학가산을2) 줄기 받아
마을이가 생길 적에 우리 조상 터를 잡아 자손만대 살 터이다 닦고 닦아 이 터 닦아 연지방아 세울 적에 석수 불러 돌을 닦고 다듬은 그 돌게다 시고 짓고 집을 지어 소를 매와 돌아갈 제 발을 엮고 욱에가면3) 어서 가자 연지마야 어서 가자 연지마야 해가 지면 못가오니 실코4) 실코 백미 씰어 백미 씰어 헌미되니 집에 가서 씻는 쌀을 우리 식구 마누라가 쌀을 씻어 열두 식구 먹고 살고 할 테이니 너가 지금 아니 가면 우리 식구 못 먹는다 어서 가자 연지바아야 바삐 가자 연지마야 해는 지서 일공되고 날은 저물어 해는 진데 어서 가자 연지바아야 우리 식구 굶어 죽어 바삐 가자 연지마야 월궁산천 대니면서 쌀을 구해 올 것이냐 니가 가자 연지바아야 1) 성금사 : 성금산(成金山). 이 마을의 근처에 있다. 2) 학가산(鶴駕山) : 이 마을의 뒷산 이름이다. 3) 우게가면 : 우겨가며. 4) 실코 : 쓸고. 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