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풍군 문수면 승문리 막현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우상기, 우병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우상기, 후창/우병락 외 |
지역개관 | 필두마을은 180여년 전에 생겼고, 동제를 지내다가 지금은 하지 않는다. 필두농악이 보존되고 있다. 농사와 가축이 주업이다. 140호 420여명이 산다.이 마을은 단양 우씨와 의령 여씨의 집성촌이다. 마을 역사는 500년 정도이고, 의령 여씨가 선주하고 단양 우씨가 뒤에 왔다. 마을에는 83호가 사는데, 우씨 30호, 여씨 22호,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예전에는 논밭을 경작했으나, 현재는 수박재배가 주로 수입원이 된다. 정월 대보름에 유릉산(劉陵山) 제단에 동제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1일에 경상북도 영주시(영풍군) 문수면 승문리 막현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우상기, 우명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현지명칭은 지짐이소리이다. 집터를 다질 때에 하는 소리이다. 망깨소리와 동일한 노래도 있고, 구분되는 소리도 있다. 이 마을에서는 호박돌에 나무를 끼고 여러 가닥의 줄을 매어 들었다 놓으면서 지점질을 했다. 선창자가 20세 무렵에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오호 지짐이여
오호 지짐이여 명산 불러 터를 잡아 오호 지짐이여 한푼 두푼 모은 흙을 오호 지짐이여 망깨에다 돌을 달아 오호 지짐이여 백명이면 매달려서 오호 지짐이여 앞사람은 뒤우러 땡기고 오호 지짐이여 뒷사람은 뻑 차 여래1) 오호 지짐이여 망깨 하나 지을 적에 오호 지짐이여 일척 두척 들어가니 오호 지짐이여 지짐이 달개 이 소리에 오호 지짐이여 만사 군사 이 아닌거 오호 지짐이여 역역이 터를 잡아 오호 지짐이여 어허 지짐이여 오호 지짐이여 쿵덕쿵덕 집을 지여 오호 지짐이여 부귀공명 터를 닦아 오호 지짐이여 한터를 잡을 적에 오호 지짐이여 어느 풍수 잡았는고 오호 지짐이여 천하에 제일가는 오호 지짐이여 일류풍수 불러다가 오호 지짐이여 자좌오향2) 가려내어 오호 지짐이여 천하명지 잡았으니 오호 지짐이여 자를 노면 자자에 오호 지짐이여 자자에다 집을 받쳐 오호 지짐이여 오허 지짐이여 오호 지짐이여 1) 차 여래 : 차 넣어라 2) 자좌오향(子座午向) : 북쪽을 등지고 남방으로 향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