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풍군 문수면 승문리 막현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우상기, 우병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우상기, 후창/우병락 외 |
지역개관 | 필두마을은 180여년 전에 생겼고, 동제를 지내다가 지금은 하지 않는다. 필두농악이 보존되고 있다. 농사와 가축이 주업이다. 140호 420여명이 산다.이 마을은 단양 우씨와 의령 여씨의 집성촌이다. 마을 역사는 500년 정도이고, 의령 여씨가 선주하고 단양 우씨가 뒤에 왔다. 마을에는 83호가 사는데, 우씨 30호, 여씨 22호,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예전에는 논밭을 경작했으나, 현재는 수박재배가 주로 수입원이 된다. 정월 대보름에 유릉산(劉陵山) 제단에 동제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1일에 경상북도 영주시(영풍군) 문수면 승문리 막현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우상기, 우명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영주군은 풍수지리에 얽힌 마을이 많다. 그 때문인지 상여소리와 달구소리가 발달하였다. 이 마을의 바로 이웃 마을인 유촌에는 300여년된 상여가 보전되어 있다. 이 마을의 상여소리의 역사를 짐작하게 해 주는 대목이다. 제보자는 조선 정조 때부터 유래된 상여소리라고도 한다. 이 노래는 선창자가 조부 우덕일어른과 부친에게 배운 소리로 문서가 탁월하다. |
가사 | <발인축원>
영이지가 완격유퇴 제진결래 영결종천1) 아이고 아이고 애고 애고 애고 <운상소리> (후렴) 오호 오호 에히넘차 호오히 호오호 호오호 이히넘차 호오호이 영결종천1) 하는 소리 호오우넘차 호오이 태산같은 집을 두고 호오우넘차 호오이 간다 간다 나는 간데이 호오우넘차 호오이 하직 인사를 하온 후에 호오우넘차 호오이 잘 있거라 부모 동기 호오우넘차 호오이 알뜰살뜰 모은 재물 호오넘차 호오이 오늘날에 막죽이라2) 호오넘차 호오이 산도 깊고 험한 데를 호오넘차 호오이 준령태산을 올러갈 때 호오넘차 호오이 까시 덤불을 헤쳐가면 열두 봉을 드나든데 산은 깊어 험한 굴은 조심하여 운상하소 <언덕 오르며> (후렴) 우히여 서요(산이요) 우히여 산이요 골공삼천 올러갈 때 앞산 뒷산 밀어 주소 힘도 들고 공도 든다 청산벽일3) 올려가니 여러분들 밀어나 주소 우히여 서이요 <상여를 내려놓으며> (후렴) 오호 오호 에히넘차 호오히 다 왔구나 다 왔구나 북망산천에 다 왔구나 삼십 이명 동군들에 좌정하여 내래 주소 조심하야 내래주소 오호 넘차 오호이 (다같이) 여! 여! 여! 1)영결종청→영결종천(永訣終天). 2)막죽: 마지막. 3)청산벽일: 청산의 벼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