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풍군 문수면 승문리 막현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우상기, 우병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우상기, 후창/우병락 외 |
지역개관 | 필두마을은 180여년 전에 생겼고, 동제를 지내다가 지금은 하지 않는다. 필두농악이 보존되고 있다. 농사와 가축이 주업이다. 140호 420여명이 산다.이 마을은 단양 우씨와 의령 여씨의 집성촌이다. 마을 역사는 500년 정도이고, 의령 여씨가 선주하고 단양 우씨가 뒤에 왔다. 마을에는 83호가 사는데, 우씨 30호, 여씨 22호,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예전에는 논밭을 경작했으나, 현재는 수박재배가 주로 수입원이 된다. 정월 대보름에 유릉산(劉陵山) 제단에 동제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1일에 경상북도 영주시(영풍군) 문수면 승문리 막현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우상기, 우명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의 달구소리는 다양하다. 처음 디질 때는 진달구소리를 하며 시계방향으로 돌다가 짜른달개소리를 하면 반대방향으로 다린다. 마무리는 이히용소리를 한다. |
가사 | <진달구소리>
오호 덜기여 오호 덜기여 덜구꾼들 들어보소 오호 덜기여 일곱 여덟 모이는 덜구질 오호 덜기여 손 맞추고 발 마차서 오호 덜기여 좌중이네 모여 주소 오호 덜기여 <짜른달구소리> 오호리 달개 오호리 달개 달개소리 나시거든 오호리 달개 왼발을 덜렁 들어 오호리 달개 오른발만 살짝 드가면 오호리 달개 장단맞꾸 되느리라 오호리 달개 달구지꾼들 돌아보니 오호리 달개 천하명장 다 모였네 오호리 달개 잘하면은 상을 주고 오호리 달개 못하면은 낙방시켜 오호리 달개 술 한잔도 전혀 없네 오호리 달개 이 터를 잡을 적에 오호리 달개 어느 지관 잡었는고 오호리 달개 천하에 제일가는 오호리 달개 일류지관 불러다가 오호리 달개 좌우로 펼쳐 놓고 오호리 달개 자자오향 가래내니 오호리 달개 여기가 명당일래 오호리 달개 주유일봉 주산이요 오호리 달개 군자산이 안산되고 오호리 달개 삼봉아 바늘형이 오호리 달개 여기 적시 불명하네 오호리 달개 앞산을 바라보니 오호리 달개 칠선봉이 불명하고 오호리 달개 칠선봉을 싸였으니 오호리 달개 아들 놓면 급제하고 오호리 달개 딸을 놓면 용녀상요 오호리 달개 뒤봉을 바래보니 오호리 달개 외선봉이 불명한데 오호리 달개 외손자야 들어바래 오호리 달개 너는 지금 과거 보면 오호리 달개 알산급제 될 것이요 오호리 달개 자손만대 부귀하여 오호리 달개 누리고도 살 터이니 오호리 달개 앞을 잠깐 바라보니 오호리 달개 내천자가 길렸으니 오호리 달개 용화세계1) 이 아닌가 오호리 달개 가련하데 가련하다 오호리 달개 무슨 연사 그리 많애 오호리 달개 북망산천 왠말이껴 오호리 달개 아배 아배 우리 아배 오호리 달개 지금 가면 언제 와요 오호리 달개 내 올찍은 묻지마라 오호리 달개 명년삼월 이때 되면 오호리 달개 영전에나 잠깐 왔다 오호리 달개 그때 다시 만나 보제 오호리 달개 가련하다 가련하다 오호리 달개 우리 부모 지금 가면 오호리 달개 언제 다시 돌아오리 오호리 달개 가마솥에 삶은 개가 오호리 달개 콩콩 지면 오실런가 오호리 달개 평풍에 그린 학이 오호리 달개 날개치면 오실런가 오호리 달개 가매솥에 삶은 개가 오호리 달개 천지사방 되고 보면 오호리 달개 그럴 적에 오실려냐 오호리 달개 내 올찍을 묻지 마래이 오호리 달개 잘있거라 잘있거라 오호리 달개 너 애들은 잘 있거라 오호리 달개 우리 상주 들어 바래 오호리 달개 내가 너를 놓을 적에 오호리 달개 진 자리를 마른 자리 오호리 달개 골라가먼 갈아 눕혀 오호리 달개 밥상 받고 똥을 싸도 오호리 달개 더러운 줄 모르시고 오호리 달개 인자하신 우리 부모 오호리 달개 사는 내가 어떻게 오호리 달개 어떻게야 갚으리까 오호리 달개 천지야 너르드냐 오호리 달개 우주야 둥구드냐 오호리 달개 도는 일월 막을 수 없고 오호리 달개 자연운들을 막을 자 없다 오호리 달개 낙낙한 극락세계 오호리 달개 저승길이 왠 말이껴 오호리 달개 적삼 벗어 얹어 놓고 오호리 달개 혼백 불러 청혼하니 오호리 달개 없던 곡성 낭장하네 오호리 달개 일직사자2) 등을 밀고 오호리 달개 월직사자 손을 끌어 오호리 달개 천방지팡3) 올라갈 때 오호리 달개 높은 등은 낮아지고 오호리 달개 낮은 등은 높아지네 오호리 달개 숨이 차고 가련하데 오호리 달개 오호리 달개 오호리 달개 덜구꾼들 들어보소 오호리 달개 요번채는 그만할까 오호리 달개 다음채로 이라볼까 오호리 달개 <이히용소리> 이히용 이히용 이양소리 이히용 나시거든 이히용 사대육신 이히용 뼈마디가 이히용 저리고 지리고 이히용 돌아간다 이히용 칼칼 갈래가4) 이히용 거들썩거리고 이히요 세살물레가 이히요 자시러젔네 이히요 앉인 고리는 이히요 편고리요 이히요 달린 고리를 이히요 문고리라 이히요 뛰난 고리는 이히요 개구리요 이히요 달린 고리 이히요 단니다가 이히요 음당수라 이히요 깊은 물에 이히요 낙환인생 이히요 왠말인고 이히요 이히용 이히요 이후후 1) 용화세계(龍華世界) : 석가 멸후 56억 7천만년 후 미륵이 나타난다는 세계. 2) 일직사자(日直使者). 염라대왕의 명을 받아 인간을 잡아간다는 저승 사자 3) 천방지팡 : 천방지방(天方地方). 급박하여 방향을 잡지 못하는 모습. 4) 칼 : 머리 카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