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부모죽은 편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천군 화산면 효정리 괴정의 부모죽은 편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병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병록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영천군 화산면 효정리 괴정은 500여년전 조선조 세종때 나주 정씨가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며 마을 주위에는 괴목이 많아 정자를 이루었다 하여 괴정리라고 하였다 한다. 또 임진왜란때 정응거 장군의 형이 부모를 위해 단신으로 왜적과 싸우다가 죽었으며, 그의 처 오천 정씨는 왜병에게 붙잡혀 가다가 말 위에서 자결하니, 이들 부부의 효와 열을 기리기 위해 마을 앞에 효열정문이 세워졌다. 이때부터 이 마을을 효자문이라고 하기도 했다. 50여 가구가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2일에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 화산면 효정리 괴정에서 채집한 부모죽은 편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병록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노래의 이름을 심회(心懷)풀이라고 했다. 전형적인 시집살이노래이다. 혼자서 밭일을 하면서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불 겉이도 더븐 날에 미 겉이도 지슨7) 밭을
한골 매고 두골 매고 삼시골로 매고 나니 땅이라 너라다 보니 먹물로 품은 듯고 하늘이라 치다보니 빌이 총총 나였구나 행주치마 털쳐입고 집이라꼬 돌아오여 시어마님 하신 말씀 아가 아가 며늘아가 무슨 일로 그렇게 늦게 했느냐 친정어머니 죽었다고 부고 왔다 이렇거러 말씀하니 마음이 동락하여2) 친정으로 향을 해여 한 고개라 넘어 가니 상도군이 행상소리 길길 나네 아고 답답 울 엄마요 살어 생전 몬 본 얼굴 후세상 따나 볼라 했디 하마 행상길이 가는군요 서른둘이 행상꾼요 잠시 쪼금 머물 줘소 우리 엄마 얼굴 신체따나 한 번 봅시다 아이구 아이구 울 어머니 들은 채도 아니 하고 상도군 황천길로 가는 구나 친정에라 들어와여 친정 올케 하신 말씀 시누아가 어제 아래 와였시면 엄마 신체라도 볼건데 무슨 일이 그리 많애 지금이라 왔느냐 하니 형님 형님 그 말 마소 시집살이 사다 보니 귀 어덥어 삼년 살고 눈 어덥워 삼년 살고 말 못해 삼년 살고 석삼년을 시집 살고 저물도록 밭을 매고 집에 오니 어덥까 어머님이 하신 말씀을 듣고 왔습니다 하니 동상말이 그렇커든 배고푸니 밥이나 요기하라카네 삼년 묵은 보리밥을 식기굽에 발러주고 삼년 묵은 둥개장을 종지에다 발러주니 어안이 하도 막혀 개야 개야 검둥개야 내 안묵는 것 너나 많이 묵어라 개를 불러 밥을 주고 하도 하도 서러워서 형님 형님 울 형님아 너무나도 무정쿠마 쌀 한접시 찾었시면 구정물이 남아신들 저테 있는 니 소 주지 먼 데 있는 내 소 주나 누렁지가 남아신들 자테 있는3) 니 개 주지 먼 데 있는 내 개 주나 그러커러 설턴 맘이 호천망극4) 통곡하니 어느 누가 이내 심정 알아주리 그러거럭 집으로 돌아오니 시어마심 하신 말씀 어제 아래 아니 오고 저 김을 누가 매노 저 밭을 누가 맬꼬 하니 어마님요 지가 하옴시더 하매 행주치마 털쳐 입고 몽당호미 손에 들고 밭에가 엎드렸으니 눈물은 비가 되여 서산에 오는 비를 부슬 부슬 뿌려주고 한숨은 바람 되어 오초동남 부는 바람 씰씰이도 희롱하소 1) 미 겉이도 지슨 : 뫼(산) 같이 잡초가 우거진. 2) 동락하여 : 산란하여. 3) 저테 있는 : 곁에 있는. 4) 호천망극(昊天罔極) : 어버이의 은혜가 넓고 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