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베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천군 화북면 자천2리의 베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분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임분녀 |
지역개관 | 옛날 자천2리 마을의 보현산을 모자산(母子山) 또는 자모산慈母山)이라 하였고, 이 마을 앞에 을(乙)자형으로 흐르는 내를 자을천(慈乙川)이라 하였다. 마을 이름은 잘내, 또는 자을천 이라 불렀으나, 후대에 자을천의 을자를 빼고 자천이라 하였다. 지금은 서부동, 동부동, 중계, 대제 일부를 합쳐서 자천이라 부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3일에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 화북면 자천2리에서 채집한 베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분녀가 참여하였다. 이 마을은 예전부터 유명한 삼마을로서 일제 때만 하여도 가구당 보통 5-6마지기의 삼밭을 가졌다고 한다. 가창자는 25세부터 60세까지 베를 짰다고 한다. |
가사 | 천상에 노던 아기 할 일이 전혀 없어
인간세상 내라와서 좌우 한편 둘러 보니 옥난강이 비었구나 옥난강에 베틀 놓자 베틀다리 니 다리는 앞다릴랑 도디 놓고 뒷다릴랑 낮이 놓고 가리새라 지린 양은 청룡황룡 뻗은 듯고 안채 널은 도디얹고 안채 널에 앉은 양은 천하하고 여운디기 용산좌해 하신 듯고 부태허리 두린 양은 비 오던 저 갠날의 산지슭에 허리안개 두린 듯고 말기 한냥 갱긴 양은 삼대독자 위동아들 명복으로 갬긴 듯고 알송 달송 두채발은 서해서창 무지개가 동해동창 걷는 듯고 부한냥 나던 양은 홍학이 알을 안고 백옥강에 넘나드는 지상이요1) 구리 한쌍 노는 양은 상주 함창 공갈못에 잉어 노는 지상이요 바대집은 치는 소리 서월갔던 시손들이 장기바둑 뜨는 듯고 비오랭이 있는 양은 활모정산 황거무가 줄을 내여 부친 듯고 눌굼대는 호부래비 강토방의2) 굽은 낚시 우술강에 던져 놓고 잉애대는 삼형제요 가는 쟁비 치리치리3) 앉은 듯고 세모반듯 저비개미 오릴씨랑 니릴씨랑 쿵질럭금 도투마리 정지럭금 뒤놈는다 베때흰때 널찐 양은 쪼꼬만한 시손들이 수태노는 지산이요 용두마리 찌국찌국 어제 왔던 며늘애기 부모 정도 소리나네 허리 굽은 저 신나무 헌신짹이 목을 매여 떨어져 가매 실피 우네 1) 지상 : 기상(氣象). 2) 강토방 : 강태공의 와음인 듯. 3) 치리치리 : 끼리 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