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한글뒤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천군 북안면 상리의 한글뒤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학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학선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영천군 북안면 상리는 못마을, 신촌, 양지촌 등의 자연촌락으로 이루어져 있고 북안면의 가장 위쪽에 있다 하여 상동(上洞)이라고 한다. 청도군 운문면과 운문산을 사이에 두고 있는 산간마을이다. 한때는 100여가구가 살았는데 지금은 30여 가구로 줄어들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4일에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 북안면 상리에서 채집한 한글뒤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학선이 참여하였다. 가창자가 14세 무렵에, 마을 친구로부터 배운 노래라고 한다. 경상북도에서는 언문뒤풀이는 주로 부녀자들에게 전수되었는데 남자가 하는 점이 독특하고 문서도 그런대로 잘 보전하고 있다. 가창자는 이 곡의 문서를 논매는 소리, 칭칭이의 앞소리에도 이용했다고 한다. |
가사 | 기역 니은 집을 짓고 사자사자 사자더니
시옷 이행 이행차가 왠 행차고 우르 님이 날 보라고 길행차 지었도다 가야거여 가이 없는 이내 팔자 그지없이 되었구나 고요고유 고운 임을 거기 두고 구정인들 잊을소냐 그기가 그 말이 웬 말인고 가세 가세 나도 가세 나냐너녀 나 죽어도 너 몬살고 너 죽어도 내 몬살고 노뇨누뉴 노상행인 전문 날에 우두막에 떨어졌네 느니나 너실너실 버들가지 이 내목을 자리고져 다쟈더져 다담한 삼삼오월 덧없이 깨달으니 도죠두쥬 도화월 적막한데 두연 소래1) 뿐이로다 더디다 들어갔던 임의 방에 다시 한번 가고지라 나랴너려 날라가는 원앙새야 너와 나와 동행하자 연분없어 몬하겠네 노료누류 노류장화 꺾어지 뉘를 알에 희롱할꼬 느리라 너실너실 땋은 머리 임에 방에 거려 두고 말먀멀며 마월 역마 철령을 머다 하고 쉬었더니 모묘무뮤 모춘삼월 다지나도 개 무어이 좋다 하리 머미마 머미한 말이로다 바뱌버벼 바람불고 비오는 날 벗 없으니 더욱 섧다 보뵤부뷰 보경을 열고 보니 부용한 색 초췌하네 버비바 버비한 임에 생각 바래기가 몇 날인고 사사 서서 사실하면 혼기 남지 소소 수수 소요한 빈방 안에 수원수원 내 팔자야 서시사 시시로 먹은 맘이 사운들 잊을소냐 아야어여 아람답게 안은 손에 인정없이 떨어진다 오요우유 오동제월 썩은 뒤에 우지지는 저 봉학아 어이야 어이거리 아라 고로 자자 저저 자지리 언자취도다 조조 주주 조일 홍 다바리고 죽을 수만 남았구나 저지자 지리한 자취로다 차차 쳐쳐 차참차참 생각하니 처처가 기원 일이로다 초초 추추 초상같이 높은 전이 추월같이 밝았구나 처치차 치치 치앙 없난 이 생각이 차지없이 되었구나 카카 커커 칼겉이 먹은 마음 그칼수로 더하구나 코코 코코 코고 눈을 몬보고서 코코이 앉았으니 커키카 크다큰 임에 품을 카캄하기 모르겠네 타타 터터 타연타 일터에 알가 토토 투투 토개삼층2) 높은 집에 투기할 이 그 뉘련공 터티타 틈이없는 생각아 파파 퍼퍼 파산제월 푸르기는 임에 동창 펄쩍 날아든다 표표 퓨퓨 표연동 뻘건 밤에 푸른 안개 둘렀구나 프피파 피어나던 옥빛 홍안 파파노구3) 되단 말가 하야허여 하연 하닐 어난 때고 허송세월 뿐이로다 호효후휴 호급하게 먹은 마음 단사로 잊을네라 허히하 히어지니 하릴 없다 1) 두연소래 : 두견 소리. 2) 토개삼층 : 토계삼층(土階三層). 3) 파파노구 : 파파노구(婆婆老軀). 늙은 할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