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논매고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의 모심는소리 · 논매는소리 · 논매고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휴, 이대봉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이상휴, 후창/이대봉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는 예천읍 외곽에 위치한 농촌으로 각성바지로 146가구가 살고 있다. 1879년에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출전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우리나라 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통명농요를 보존하고 있는 마을이다. 농요 뿐만이 아니라 부녀요, 기타 노동요도 발달한 민요의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6일에 경상북도 예천군 에천읍 통명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논매고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상휴, 이대봉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예천 통명농요로 널리 알려진 노래이다. 1985년에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통명농요는 현재 메김소리 담당자인 이상휴와 이대봉을 주축으로 한 약 40명의 통명농요단에 의해 전승된다. 통명농요는 모심는 소리인 아부레이수나와 모를 다 심고 논에서 나오며 부르는 돔소가 있고, 논매기 노래인 애벌논매기 노래와 상사디여가 있다. 또 논을 다 매고 나오면서 부르는 방아소리와 에히용 소리가 있다. 그리고 논매기를 마치고 집으로 오면서 부르는 캥마쿵쿵 노세와 타작소리인 어허라 봉헤야 등이 있다. 논매기 소리 선소리의 끝에 뒷소리의 일부분이 불리어지는 것과 선소리가 끝이 날 때에 뒷소리가 한데 어울려서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
가사 | <아부레이수나>
(후렴) 아부레이수나 이요 아부레이수나1) 에에 오늘날 이 논빼미에 누구 누구 모여싰는고 일등 농군님이 다 모였싰네 이에 아부레이수나 에에 한 톨 종자 싹이 나서 만곱쟁이 열매맺는 신기로운 이 농사는 하늘 땅에 조화로네 아부레이수나 에에 모야 모야 노랑모야2) 니 언지 커서 열매가 맺힐래 이 달 크고 새 달 커서 칠팔월에 열매나 맺지 아부레이수나 <돔소소리> (후렴) 돔소 돔소 에헤루화 돔소 돔소3) 돔소 헤헤루화 돔소이 돔소 소리가 나거들랑 헤헤루화 돔소이 먼 데 사람 듣기 좋게 헤헤루화 돔소이 젙에 사람 보기 좋게 헤헤루화 돔소이 돔소 소리도 고만하세 헤헤루화 돔소이 <에행소리> 아 에헹 헤에이 에이 에잉 이요하 에이 아어엉 아우후야 이후후 어 에헹 헤에이 태산 우에 노는 구름 남산봉에 비가 되니 꽃은 피어 단장하고 옥은 다시 모양 내네 아헹 에헤이 에이 에잉 이요하 에이 아어엉 아우후야 이후후 어 에헹 헤에이 우리 하고 농군들요 이 내 말을 들어보소 사업공사 직업 중에 우리 농군이 제일이로다 아헹 에헤이 에이 에헹 이요 어화 얼싸 감자이였구나 어허 아우후여 이후후후 어 에헹 헤에이 의사마다 병곤치면 북망산천 왜 생기노 사람마다 선비되면 농군 될 사람 누기 있노 아헹 헤에이 에이 헹이요하 이팔청춘 소년들아 어허 아우후야 아호 이후야 어 에엥 헤에이 요번마디 오래하고 요번 마디는 긴상사로이 하여보세 아헹 에헤이 에이 잉이요 허하 명사십리 해당화야 어허 아유후야 아호 이후후후후 <긴상사소리> 헤이 오호이 상사디요 에헤이 아헤 오호이 상사디요 상사소리가이 나거들랑 에헤이 아헤 오호이 상사디요 올라가면 놀아보세이 에헤이 아헤 오호이 상사디요 상사소리도이 고만하고이 에헤이 아헤 오호이 상사디요 <방아소리> 오호라 방해야 오호라 방해야 이 방하가 뉘 방하고 오호라 방해야 강태공의 조작방해 오호라 방해야 여주 이천 자차방하 오호라 방해야 개편방하 수수방하 오호라 방해야 장태골에 첩을 두고 오호라 방해야 첩으 집에 놀러가세 오호라 방해야 첩으 집에 놀러가니 오호라 방해야 첩은 이미 잠이 들고 오호라 방해야 나 오는 줄 모르는고 오호라 방해야 방해소리도이 고만하세 오호라 방해야 <에이용소리> 에이용 에이용 에이용소리 에이용 나그들랑 에이용 한마디는 에이용 높게 하고 에이용 또 한마디는 에이용 낮게 하고 에이용 둥굴둥굴 에이용 수박땀으로2) 에이용 몽굴몽굴 에이용 호박띠미 에이용 상투가 까딱 에이용 어깨가 질쑥 에이용 허리가 굽썩 에이용 붕알이 달랑 에이용 오금이 조착 에이용 에이용소리 에이용 나거들랑 에이용 삼시마디로 에이용 들고나세 에이용 <캥마쿵쿵 노세 소리> 노세이 노세 캥마쿵쿵 노세 노세 노세 캥마쿵쿵 노세 낙락장송 고목되면 캥마쿵쿵 노세 노세 노세 캥마쿵쿵 노세 눈먼 새도 아니오네 캥마쿵쿵 노세 노세 노세 캥마쿵쿵 노세 비단옷도 떨어지면 캥마쿵쿵 노세 노세 노세 캥마쿵쿵 노세 행주 걸래기로 다 나가네 캥마쿵쿵 노세 노세 노세 캥마쿵쿵 노세 우렁차게 잘 놀아보세 캥마쿵쿵 노세 노세 노세 캥마쿵쿵 노세 노세 소리도 고만하세 캥마쿵쿵 노세 노세 노세 캥마쿵쿵 노세 (“자 막걸리 한 잔 먹고 합시더, 그럽시다”) 1) 아부레이수나 : 아부레이는 모인다 만난다는 뜻을 가진 말이고 수나이는 그 반대말이다. 모를 심을 때 모꾼들이 서로 만났다 헤어졌다 하는 모습을 묘사한 말. 2) 수박땀 : 수박쌈? 둥글게 모여들어 마무리하라는 말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