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삼삼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의 삼삼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양옥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양옥교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는 예천읍 외곽에 위치한 농촌으로 각성바지로 146가구가 살고 있다. 1879년에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출전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우리나라 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통명농요를 보존하고 있는 마을이다. 농요 뿐만이 아니라 부녀요, 기타 노동요도 발달한 민요의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6일에 경상북도 예천군 에천읍 통명리에서 채집한 삼삼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양옥교가 참여하였다. 삼삼는 소리는 그 작업이 길고 지루하기 때문에 내용이 긴 서사민요를 부르기에 좋다. 이 노래는 한 남자가 혼인을 하려고 처가를 둘러보러 갔다가 처녀가 애를 낳아 놓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되돌아오는 과정이 그려져 있다. 가창자의 고향인 직산에서 배운 노래이다. |
가사 | 하늘우에 한선부야 글씨 좋다 소문났네
밀양땅에 강수잰이 바느질 좋다 소문났네 쌍무지개 선을 둘러 외무지개 진을1) 달아 이주마니 누가 짓노 하거들랑 봉줄새라 우리 누님 잉길새라 지었다 하소 돌아보사 돌아보오 집가새나2) 돌아보세 은도랑3) 옆에 찌고 은따뱅이4) 손에 들고 뒷에 동산 쳐다보니 벙치5) 씬 놈 다섯하고 고깔6) 씬 놈 다섯하고 열에 다섯놈 넘어오네 돌아보자 돌아보자 집가새나 돌아보세 마당 한칸 들어서니 국내 장내 디리치네 대문 한칸 들어서니 울음 소리 진동하네 마리 한칸 올라서니 모시 국시 세국시를 어느 사외 주시자꼬 이리 많이 해야났소 사외7) 사외 내사외야 주시자꼬 해야났소 또 한 고방 여다리니 암소황소 잡아났네 어느 사외 주시자꼬 이리 많이 해야났노 사외 사외 내 사외야 주시자꼬 해야났소 또 한 고방 여다리니 만물청주8) 후물청주9) 독독이도 뜨야났네 어느 사외 주시자꼬 이리 많이 해야났소 사외 사외 내사외야 주시자꼬 해야났소 또 한 고방 여다리니 만물감주 후물감주 톡톡히도 뜨야낳소 어느 사외 주시자꼬 이리 많이 해야 났소 사외 사외 내사외야 주시자꼬 해야났소 샘물겉이 나는 젖을 논물겉이 끊는 젖을 조랑마고10) 믹이 조라 그게 무신 죄가 있노 지어주자 지어주자 평풍너매 유봉석이 이름이나 지어주자 모시고개 시고개를 돌디11) 밟히 어예 가요 잔 돌근12) 밟아주고 굵은 돌근 차고 가요 모시고개 시고개를 이실 채이 어예가요 이실 이상 차고 가요 1) 진 : 깃. 2) 집가새 : 집 주위. 3) 은도랑 : 은 도시락. 4) 은따뱅이 : 따뱅이는 또아리. 5) 벙치 : 벙거지. 6) 꼬깔 : 고깔. 7) 사외 : 사위. 8) 만물청주 : 맨 처음 거른 맑은 술. 9) 후물청주 : 다시 거른 찌꺼기술. 10) 조랑마고 : 자랑 말고. 11) 돌디 : 돌덩이. 12) 잔 돌근 : 잔 돌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