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네뛰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기타세시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의 그네뛰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양옥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양옥교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는 예천읍 외곽에 위치한 농촌으로 각성바지로 146가구가 살고 있다. 1879년에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출전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우리나라 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통명농요를 보존하고 있는 마을이다. 농요 뿐만이 아니라 부녀요, 기타 노동요도 발달한 민요의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6일에 경상북도 예천군 에천읍 통명리에서 채집한 그네뛰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양옥교가 참여하였다. 단오절 여성들의 그네뛰기 풍습을 알 수 있는 노래이다. 단오날이면 여자들이 모두 좋은 옷 좋은 신으로 갈아신고 나와 그네를 뛰었다고 한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고향인 직산에서 배웠다고 하며, 통명에서는 이런 노래가 없었다고 한다. 여자들이 둘이서 그네를 뛰면서 불렀는데, 둘이 함께 뛰는 쌍그네를 가리켜 오부랑세이 그네라고 하는데, 서로 어우러지다는 뜻이라 한다. |
가사 | 아부네이수나
오월이라 초단오날 상탕에 목욕하고 중탕에 세수하고 삼단겉은 요내 머리 상탕에 깜아 빗고 오복사 댕기1) 디리고야 어부네이수나 주항노2) 저고리 임물통처마 갈아입고 어부레이수나 삼승버선 노랑첨배기 담숙 갈아 신고 어부네이수나 근디나3) 밑에 가가주고 어부네이수나 근디에야 올라섰네 어부네이수나 앞산에는 잎이 피고 뒷산에는 꽃이 피고 어부네이수나 한번 굴려 두번 굴려 삼세번 거듭 굴려 흰구름하고 희롱하네 어부네이수나 1)오복사 댕기: 오복(五福)을 수놓은 댕기. 2)3)주항노→주항라(紬亢羅): 명주실로 짠 항라. 3)근디: 그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