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베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천군 풍양면 공덕리 공처의 베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순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장순분 |
지역개관 | 예천군 풍양면 공덕리 공처마을의 속칭인 공처(公處)는 옹기를 굽던 점촌(店村)이므로 도공들이 살던 골이란 뜻이다. 각성바지로 50여 가구가 살고 있다. 평야지대에 자리잡은 농촌이다. 1993년에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7일에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공덕리 공처에서 채집한 베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순분이 참여하였다. 베틀노래는 베틀의 성립, 베틀의 부분 명칭과 기능을 상세하게 사설로 짜 맞춘 노래이다. 가창자는 어려서부터 베를 많이 짰는데 이 노래는 15세 전후에 마을에서 풍물 노는 사람들로부터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하늘우에 노던 선녀 할 일이 없어서러 사방삼처나 돌아보니
비었도다 비었도다 옥난간이 비었도다 일자댕목1) 데리다가 베튼나무 베를 져서 재던 나무 잿다듬고 비틀 한쌍 묶어 놓고 베틀 놓세 베틀 놓세 옥난간에 베틀 놓세 베틀다리 양 네다리 앞다리는 돋아 놓고 뒷다리는 낮아 놓고 가루새는 양몸을 짚어두고 앉을깨나 돋은 양은 우리 나라 용상님네 베테나 두는 양은 북두칠성을 들렀도다 선녀 앞에 베틀방석 외동아들 마른 자리 진자리 깔아주고 말코나 탱탱 감긴 양은 삼대독자 외동아들 명과 복과 감겼도다 앙금장금 여는 짓깔 서에 서쪽 서무지개 동해나 동짝 질렸도다 눈물 잘금 저질개는 대왕강에 목깜하러 넘나드네 부귀라고 넘나드는 양은 대왕강에 알을 품고 불려든다 불려든다 안개 속에 불려든다 바디집이라 치는 소리 오뉴월에 소낙비에 베락치는 소리로다 한치 두치 짜여 놓고 우리 나라 소식이나 바라보까 오늘이나 편지올까 내일이나 소식올까 소식 오기 고절하네 잉애대는 삼형지요 울로넘대 호부래비 눈썹놀이 두 형제가 잉애대를 손을 잡고 용두머리 우는 소리 치런하다 치런하다 양귀를 쫑우리고 치런하기도 치런하다 절로 굽은 신찐 나무 헌신짝은 목을 매고 어사 많은 비그미와 사치 많은 사치미는 망구산을 다 구어내고 호부래비 다불대는 황소같은 도토마리 이리 밀고 저리 밀고 이리 털끄럭 저리 털끄럭 정절식으로 다 넘어간다 1) 일자댕목 : 빼어난 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