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깨비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갖고놀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천군 풍양면 공덕리 공처의 방아깨비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인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인순 |
지역개관 | 예천군 풍양면 공덕리 공처마을의 속칭인 공처(公處)는 옹기를 굽던 점촌(店村)이므로 도공들이 살던 골이란 뜻이다. 각성바지로 50여 가구가 살고 있다. 평야지대에 자리잡은 농촌이다. 1993년에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7일에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공덕리 공처에서 채집한 방아깨비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인순이 참여하였다. 아들을 그리던 노총각이 방아깨비를 한 마리를 붙들고 자식인 줄 알고 불렀다는 이야기가 담긴 노래이다. 생김새를 들추며 아들 자랑을 하는데, 사설이 현대식으로 첨가되어 있어서 흥미롭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풍양면 와룡리에서 집안 어른으로부터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이마 살짝이 번듯해 너의 증조부 닮았구나
쯔쯔 쯔쯔 쯔쯔쯧 얼굴이 비숨해 너의 조부님 닮았구나 쯔쯔 쯔쯔 쯔쯔쯧 코줏자리가1) 둥굴해 너의 아버님 닮았구나 쯔쯔 쯔쯔 쯔쯔쯧 입모습이 쭉째서 너의 큰 누나 닮았구나 쯔쯔 쯔쯔 쯔쯔쯧 목고개가 쑥 빠져 네코다이나2) 매겠다 쯔쯔 쯔쯔 쯔쯔쯧 눈방울이 둥굴해 안경 깨나 쓰겠다 쯔쯔 쯔쯔 쯔쯔쯧 어깨빠디가 꽉차서 코도3) 깨나 입겠다 쯔쯔 쯔쯔 쯔쯔쯧 임모습이 쭉째져 마스쿠나4) 쓰겠다 쯔쯔 쯔쯔 쯔쯔쯧 서울에 큰 누가 알았으먼 기저구 필이나 떠올낀데 쯔쯔 쯔쯔 쯔쯔쯧 부산에 둘째 누나가 알았으면 미역 단이나 사올낀데 쯔쯔 쯔쯔 쯔쯔쯧 아릇도리가 멀쑴해 서울에 한강물 잘 건넬따 쯔쯔 쯔쯔 쯔쯔쯧 발허리가 질쑥해 서양 구두를 신겠다 쯔쯔 쯔쯔 쯔쯔쯧 인제는 여게 누었거라 미역국이나 끼리먹자 쯔쯔 쯔쯔 쯔쯔쯧 (“미역국 끼리 먹을라 눕혀 놨더니, 항구래비가 문구멍 뚤버졌는 디로 딱딱 날라갔어요”) 아 천금같은 내 아들아 만금같은 내 아들아 나를 두고 어딜 가노 쯔쯔 쯔쯔 쯔쯔쯧 나와 같이 살았이먼 얼마나 좋을긴데 어데를 가니라고 때때때때 날아가노 너 아부지도 아니 보고 어데를 가니라고 때때때때 날아가노 쯔쯔 쯔쯔 쯔쯔쯧 1) 코줏자리 : 콧등. 2) 네코다이 : 넥타이. 3) 코도 : 코트. 4) 마스쿠 : 마스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