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천군 호명면 송곡리 솔무덤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장녕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이장녕 |
지역개관 | 솔무덤은 송림이 마을을 에워싸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의 역사는 417년 정도 되었다. 이 마을은 약 31호가 거주하며, 연안 이씨의 집성촌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13일에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송곡리 솔무덤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장녕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달구소리가 매우 가다듬어져 있는 형태이다. |
가사 | <긴소리>
(다같이) 후오 이후후후 휘이 에 에오 에헤 아아 아호 후오 어화 우리 군장네야 이 내 한 말씀 들어나 보고 가소 에헤 휘이 에 에오 에헤 아아 아호 후오 에헤 부유같은 이 세상에 일평생이 얼마련고 에헤 휘이 에 에오 에헤 아아 아호 <사대소리> 후오 사호 헤 사호뒤요 후오 사호 헤 사호뒤요 후여라 동해동창 돋은 해는 서산 너머로 다 넘어갈라고 하네 오호 후오 사호 헤 사호뒤요 후여라 바다겉은 논자리에 일등군장 다 모였네 요러구나 어헤 오호 후오 사호 헤 사호뒤요 <진방아소리> 오호호 방헤요 오호호 방헤야 쿵덕쿵더덕 찧는 방아 오호호 방헤야 어느 누구가 마련했노 오호호 방헤야 조물주님이 마련했나 오호호 방헤야 옛날옛날 신농씨가 마련했노 오호호 방헤야 구성지고도 잘했구나 오호호 방헤야 자진방아로 넘어가네 오호호 방헤야 <짜른방아소리> 에헤오 방헤오 에히오 방헤오 짤크덩 잘캉 찧는 방아 에히오 방헤오 오호 덜구얘 오호 덜구야 덜구꾼아 멀구꾼에이 오호 덜구야 천년 집을 지을 적에 오호 덜구야 오른발에 소리 내여 오호 덜구야 왼발에 치워주게 오호 덜구야 허 덜구애 오호 덜구야 대장부 허랑하야 오호 덜구야 세상사를 소제하고 오호 덜구야 당상에 높이 누워 오호 덜구야 만천하 두루 돌아 오호 덜구야 이시운하 저문날에 오호 덜구야 하도낙서 찾아갈 때 오호 덜구야 시 잘 짓는 도연명은 오호 덜구야 춘추명월 되여있고 오호 덜구야 술 잘 먹는 이태백은 오호 덜구야 명라수 깊은 물에 오호 덜구야 수중고혼 되었으니 오호 덜구야 여보시오 벗님네요 오호 덜구야 노자는 청춘인데 오호 덜구야 한번 아야 실수하여 오호 덜구야 북망산 돌아가면 오호 덜구야 어느 가객 고인들의 오호 덜구야 날 불쌍타 하겠어요 오호 덜구야 살아서 인정쓰고 오호 덜구야 살아생전 전쟁쓰면 오호 덜구야 후천지하 가더래도 오호 덜구야 성현으로 갈 것이요 오호 덜구야 한 세상 너른 천지 오호 덜구야 풍우는 재촉하고 오호 덜구야 인생은 더디 갈 때 오호 덜구야 바람 강풍 부지 마라 오호 덜구야 송풍 낙엽 떨어지고 오호 덜구야 유수강은 가지 마래이 오호 덜구야 우리 청춘 흘러간다 오호 덜구야 아깝다 우리 청춘 오호 덜구야 <달개소리> 오호루 달개 오호루 달개 달개소리가 나거들랑 오호루 달개 외로 돌다 오리 돌아 오호루 달개 입은 고리는 저고리 오호루 달개 달린 고리는 문고리 오호루 달개 뛰는 고리는 깨고리 오호루 달개 나는 고리는 꾀꼬리 오호루 달개 양발 갖은 가마귀 오호루 달개 세발 가진 삼두매1) 오호루 달개 해발 가진 상두레 오호루 달개 백발 가진 상투여 오호루 달개 백발상투가 다 시러졌다2) 오호루 달개 <에이흥소리> 에이홍 에이홍 에이홍 소리 에이홍 삼시마디 에이홍 에이홍 이후후 1) 삼두매 : 발이 세개 달렸다는 전설의 짐승. 2) 시러졌다 : 시들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