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물레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금당실의 내방가사-물레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채숙묵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채숙묵 |
지역개관 |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금당실은 금당마찌 반서울 화장칫뜰 살기 좋고라는 말이 암시하듯이 매우 반촌의 성격에 가까운 마을이다. 동촌은 부촌이고, 서촌은 상가이고, 남촌은 민촌이고, 북촌은 반촌이다. 상하금 모두 합쳐 700호 가까이된다. 함양 박씨, 안동 권씨, 원주 변씨, 예천 권씨 등이 모여 산다. 할머니 경로당이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내방가사, 부녀요, 전래동요가 풍부하게 보전된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3일에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금당실에서 채집한 물레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채숙묵이 참여하였다. 물레노래는 문익점이 목화를 가져 오고 문익점의 손자 문래가 물레를 지은 내력을 소개한 것이다. 사설의 내용이 매우 유식하고 세련되어 있다. |
가사 | 물레로다 물레로다 이 물레가 웬 물렌고
문익점1) 중원 땅에 목화씨 얻어다가 의성땅에 먼저 숨궈 온 조선에 퍼졌다네 바람내여 실잣기를 어찌 하여 하잔 말고 문익점 손자 물래씨가 물레를 만들었네 신통하고 공교하다 무심찮이 만들었네 두 기둥을 세웠으니 양회분에 뽄을 땄나 여덜살이 골랐으니 팔쾌를 뽄을 땄나 가운 줄을 둘렀으니 황도 적도 뽄을 땄나 괘머리를 볼작시면 뒤는 높고 앞은 낮아 남북극이 어석하니2) 그 뽄따서 만들었나 꼭두마리 끼웠으니 도화자루 이 아닌가 왼손에는 꼬치쥐고 오른손에 물레 잣고 바람 바람 내는 양은 오리 선짜 실사짜가 역력히 생각난다 동방화촉 긴긴밤에 일선양유 실오린가 칠월칠석 오색선에 절교하던 실오린가 부화부순 좋은 금슬 실과 같이 감겨 있고 시간살이 허물없이 이실같이 자아내자 천지옥형 뽄을 따서 음양이수 잘도 돈다 1) 문익점(文益點) : 고려때 사람. 목화를 가져와 이 땅에 퍼뜨린 사람이다. 2) 어석하니 : 기울어시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