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활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금당실의 내방가사-활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채숙묵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채숙묵 |
지역개관 |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금당실은 금당마찌 반서울 화장칫뜰 살기 좋고라는 말이 암시하듯이 매우 반촌의 성격에 가까운 마을이다. 동촌은 부촌이고, 서촌은 상가이고, 남촌은 민촌이고, 북촌은 반촌이다. 상하금 모두 합쳐 700호 가까이된다. 함양 박씨, 안동 권씨, 원주 변씨, 예천 권씨 등이 모여 산다. 할머니 경로당이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내방가사, 부녀요, 전래동요가 풍부하게 보전된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0월 3일에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금당실에서 채집한 활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채숙묵이 참여하였다. 목화를 타는 활을 소재로 한 내방가사이다. 가창자는 이 소리를 군소리 삼아 심심풀이로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활이로다 활이로다 양유귀의1) 활이로다
유공자의 활이로다 태산 남쪽 오호나무 염나라 황소 뿔로 초나라 사슴 힘줄 좋게 만든 활이로다 아니로세 아니로세 기원녹죽2) 좋은 대를 드는 장도 치다가서 회계산에 좋은 딱을3) 드는 칼로 비어다가 눈 고르게 딱을 꼬아 팽팽하게 놓았으니 좋은 활이 분명하다 활을 놓고 다시 보니 초생달이 완연하다 활을 들고 당기보니 중추 명월 완연하다 타고 보세 타고 보세 무명 바심 타고 보세 가는 허리 고이 굽혀 활장손을 낮게 붙혀 살금살금 당기놓니 뭉기 뭉게 피는 양은 오호상의4) 연기련가 초한전상5) 먼지련가 용문산의 안개련가 니 근목이6) 좋았더냐 내 솜씨가 좋았더냐 근목좋고 솜씨 좋아 재미끝에 노래로다 1) 양유귀 : 활을 잘 쏘았다는 사람의 이름. 2) 녹죽 : 대나무의 일종. 3) 딱 : 닥나무. 4) 오호상 : 돌아가신 분을 위해 피우는 향의 연기. 5) 초한전상 : 초나라 한나라가 싸울 때의 6) 근목 : 재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