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미나리로 캐가지고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릉군 북면의 미나리로 캐가지고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603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울릉군 |
생산지역 상세 | 북면 나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1 , 미나리로캐가지고 , 민요 , 노동요 , 경상북도 , 경북 , 을릉군 , 1993 , 1995 , 미나리로 캐가지고 , 김계선 , 독창 , |
실연자 | 김계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계선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는 울릉도 나리분지에 있는 마을이다. 나리분지는 섬의 북부에 위치하며 동남부 서남부가 높이 500m 내외의 단애에 둘러싸이고 북부가 300m 이하의 낮은 산지로 막혀 있는 울릉도 유일의 평야이다. 울릉도의 전통가옥인 너와집과 투막집이 남아 있다. 17가구의 사람들이 천궁을 재배하며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6월 3일에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에서 채집한 미나리로 캐가지고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계선이 참여하였다. 미나리를 캐서 나물 반찬을 아주 잘해서 온 가족에 기쁨도 주고 죽어서까지 좋은 일을 하게 되었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가창자에 의하면 밭일을 하거나 길쌈을 하면서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미나리로 캐 가지고 금금논에 숨가 놓니
은장도 드는 칼로 어슥 저슥 비어내여 오실도실 끓는 물에 어리설콤 데와 가주 삼년 묵은 꼬치가리 사연 묵은 간지름에 아각자각 문치 가주 울아버지는 밥상에는 은대집에 담아 놓고 울어마니는 밥상에는 놋대집에 담아 놓고 우리 오빠 밥상에는 큰 그륵에 담아 놓고 우리 올케 밥상에는 굽식기에 담아 놓고 서울 양반 모임 중에 울아부지 생일레라1) 정절부인 모임 중에 울어머니 생일레라 마음선배2) 모임 중에 우리 오빠 생일레라 새별각시 모임 중에 우리 올케 생일레라 울아버지 밥상에는 팔도야 감사꽃이 피었구나 울어머니 밥상에는 노자꽃이 피었구나 우리 오빠 밥상에는 선배꽃이 피었구나 우리 형님 밥상에는 새별꽃이 피었구나 울아버지 죽거들랑 하늘가에 다릴하소 울어머니 죽거들랑 갈띠에 베릴하소 우리 오빠 죽거들랑 들 가운데 정좌하소 우리 올케 죽거들랑 정자 밑에 새미하소 우리 동성 죽거들랑 새미 안에 옥처리 하소 1) 생일레라 : 상을 받았다는 말. 2) 마음선배 : 마을 선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