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장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자장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릉군 북면의 자장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계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계선 |
지역개관 | 울릉군 북면 나리는 울릉도 나리분지에 있는 마을이다. 나리분지는 섬의 북부에 위치하며 동남부 서남부가 높이 500m 내외의 단애에 둘러싸이고 북부가 300m 이하의 낮은 산지로 막혀 있는 울릉도 유일의 평야이다. 울릉도의 전통가옥인 너와집과 투막집이 남아 있다. 17가구의 사람들이 천궁을 재배하며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6월 3일에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에서 채집한 자장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계선이 참여하였다. 경상북도에 널리 퍼져 있는 워리자장 유형의 자장가이다. |
가사 | 자장 자장 워리자장
우리 아기 잘도 잔다 개야 공공 짖지 마라 검동개야 너도 자자 부엌개야 너도 자자 워리 자장 우리 아기 꼬꼬 닭아 우지 마라 우리 아기 잠 깨인다 우리 아기 잠자는데 머리 잼이 눈에 오고 새끈새끈 잘도 잔다 금자동아 은자동아 우리 집에 귀염동아 동박석에1) 명을 빌고 석순에2) 복을 빌어 외 굵듯 가지 굵듯 잔병없이 잘 크거라 1) 동박석 : 동방삭(東方朔). 삼천갑자를 살앗다는 중국 역사상의 인물. 2) 석순 : 석숭(石崇). 억만장자였다는 중국 역사상의 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