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뭇짐실어나르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진군 평해읍 삼달리 달변의 나뭇짐실어나르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317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울진군 |
생산지역 상세 | 평해읍 삼달리 달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1 , 나뭇짐실어나르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경상북도 , 경북 , 울진군 , 1993 , 1995 , 나뭇짐실어나르는소리 , 황천이 , 독창 , |
실연자 | 황천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황천이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삼달리 달변에는 각성바지로 82호 340여명이 산다. 마을은 농사일을 하고, 10여 가구는 축산을 한다. 1년에 3회 당제를 지내고, 그 당에는 골맥이신인 전씨 할아버지를 모신다. 당제는 정월 보름에 지내나, 유월 보름이나 구월 보름에도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17일에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삼달리 달변에서 채집한 나뭇짐실어나르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천이가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어사용이라고 하면서도 소모는 소리임을 강조했다. 나무를 많이 해서 산에서 내려와 소에다 나무 짐을 얹고 돌아오는 과정에서 소리를 했다. |
가사 | 오늘 해도 거반 갔고 일모서산1) 되어가니
이 새야2) 이 새야 이 낭구를 뉘 등에 싣고 우루 집으로 같이가자 에헤이 니나 내나 무신 죄로 타고 나서 이 모양 이 신세가 되단 말고 어서 가자 재촉 가자 잔 돍을3) 시러 딛고 굵은 돌 넝거 딛고 자취없이 어서 가자 이랴 자취없이 빨리 가자 니 죽에는 갱물이4) 돌고 내 밥에는 파리가 돈다 내 팔자야 내 신세야 가소롭다 가소롭네 이랴 어떤 사람은 팔자 좋아 고대광실 높은 집에 부귀영화로 살건마는 니 팔자나 내 신세사나 가엾이 되었구나 자취없이 어서 가자 이려이려 이 새야 어서 가자 이 저 건너 청검산 바우 밑에 폭포에 물 널어찌는 소리야 울 어머니 먹던 밥에 술5) 걸어 놓고 두 손뼉 마지치고 날 부르는 소리 귀에 쟁쟁 눈에 삼삼 하단마는 두 손목 부루 잡고 북원천리 쫓아가니 울 엄마는 간 곳없고 시소선이6) 날 속였네 엄마 엄마 울 엄마야 울 엄마야 내 신세 이리 될 줄은 어는 기 누가 알았는가 어느 기 누가 알았던고 이 남 날 적에 나도 나고 내 날 적에 남도 났고 울 엄마가 나를 나여 진자래에 엄마 눕고 마린 자래 나를 눕혀 고이 고이 길려서러 부중생남 만년 잠을 보려했더니 새꼬리 뺌을 맞는 것이 만중록이란 말인가 엄마 엄마 울 엄마요 1) 일모서산 : 일모서산(日暮西山). 2) 새야 : 소야. 3) 장돌굴 : 작은 돌. 4) 갱물 : 건데기가 없는 물. 5) 술 : 숟가락. 6) 시소선 : 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