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춘아 춘아 오동춘아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울진군 기성면 황보리 노송의 삼삼는소리-춘아 춘아 오동춘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318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울진군 |
생산지역 상세 | 기성면 황보리 노송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1 , 삼삼는소리 , 춘아춘아오동춘아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경상북도 , 경북 , 울진군 , 1993 , 1995 , 춘아 춘아 오동춘아 , 김종순 , 독창 , |
실연자 | 김종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종순 |
지역개관 | 울진군 기성면 황보리 노송마을에는 각성바지로, 41호 150여명이 산다. 뒷산은 필봉제이고, 해마다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당제를 지낸다. 당신은 여신으로 박씨성을 가졌다. 마을은 농사일과 담배를 해서 먹고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18일에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황보리 노송에서 채집한 춘아 춘아 오동춘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종순이 참여하였다. 주인공이 어떤 연유로 잡혀가는 광경을 묘사한 서사민요. 이런 유형의 노래는 대개 저승사자가 주인공을 잡아가는 내용인데, 여기서는 저승사자의 묘사가 확실치 않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삼삼는 이바구라고 했다. 13세 무렵에 삼을 때 어머니로부터 배웠다. |
가사 | 춘아 춘아 오동춘아 손이 왔네 손이 왔네
어데서러 손이 왔노 서울서러 손이 왔다 잡으러 왔네 잡으러 왔네 오동춘이 잡으러 왔네 한짝 손에 창칼 들고 한짝 손에 대패 들고 잡으러 왔네 잡으러 왔네 오동춘이 잡으러 왔네 큰 방문을 방문 열고 아부지요 아부지요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춘아 춘아 오동춘아 머다 머다 행로질로 발삥없이 잘 가거라 큰 방문을 방문 열고 어매 어매 울 어매야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춘아 춘아 오동춘아 머다 머다 항로질로 발삥없이 잘 가거라 상방문의 방문 열고 오랍 오랍 울 오라배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춘아 춘아 오동춘아 머다 머다 항로질로 발삥없이 잘 가거라 정지문을 방문 열고 형님 형님 울 형님아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춘아 춘아 오동춘아 머다 머다 항로질로 발삥없이 잘 가거라 올러가는 실구름아 너러오는 띨구름아 우리 고향 가거들랑 말 한마주 전해 주소 무신 말을 전해주꼬 우리 엄마 보거들랑 젖을 굶고 간다 하소 젖을 짜서 부치라 하소 우리 아버지 보거들랑 신을 벗고 간다 하소 신을 싸서 부치라 하소 우리 형님 보거들랑 옷을 벗고 간다 하소 옷을 해서 부치라 하소 우리 오빠 보거들랑 머리 풀고 간다 하소 댕기 떠서 부치라 하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