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성군 다인면 덕지리 하광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무길, 이봉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임무길, 후창/이봉기 외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지리 하광은 조선 선조 때 김녕 김씨가 상주에서 정착했는데 이 때 웃광덕과 생활권을 같이하므로 광덕(光德)으로 불려 오다가 그 후 차츰 하광, 또는 아랫광덕으로 불리게 되었다. 의성군과 예천군의 접경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만큼 이 마을의 민요는 예천의 소리와 유사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20일에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하광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무길, 이봉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호박돌에 줄을 매어 집터를 다질 때에 부르는 소리이다. 현지 명칭은 지짐소리이다. 호박돌은 흔히 디딜방아의 확돌(방아고로 쓰이는 돌)이 구멍 난 것을 쓴다. 이 마을에서는 80근 가량의 호박돌을 사용했다. |
가사 | 에헤루 지짐이요
에헤루 지짐이요 지짐돌클1) 번쩍 들어 에헤루 지짐이요 쿵덕쿵덕 마서볼까2) 에헤루 지짐이요 이 집 짓는 대주님은 에헤루 지짐이요 지짐소리가 이렇키 나도 에헤루 지짐이요 어데를 가고서 아니를 오노 에헤루 지짐이요 지짐소리가 나거들랑 에헤루 지짐이요 동네 사람들 들어를 보고 에헤루 지짐이요 지짐 집으로 찾어를 오면 에헤루 지짐이요 쥔네 양반은 환영을 하네 에헤루 지짐이요 이 집을야 다 지 가주고서 에헤루 지짐이요 좋은 집을 지어 서러 에헤루 지짐이요 자석 형제를 나어서로 에헤루 지짐이요 높은 학교에 공부를 시켜 에헤루 지짐이요 좋은 비실을3) 원을 하네 에헤루 지짐이요 누구누구 할 것 없이 에헤루 지짐이요 우리 인생은 다 같쟎나 에헤루 지짐이요 어떤 사람은 돈이 많아 에헤루 지짐이요 이는 집을 짓는데야 에헤루 지짐이요 이 내 나는 어데를 갔다 에헤루 지짐이요 이른 집을 못 짓는고 에헤루 지짐이요 한을 한들 소용이있나 에헤루 지짐이요 할 수 없다 이 내 몸은 에헤루 지짐이요 에헤루 지짐이요 에헤루 지짐이요 1) 지짐돌클 : 지점돌을. 2) 마서볼까 : 다져 볼까 3) 비실 : 벼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