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무꾼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성군 신평면 중률리 밤실의 나무꾼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운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운한 |
지역개관 | 의성군 신평면 중률리 밤실은 임진왜란 이전부터 있었으니 약 450여년의 역사를 가진다. 현재 마을에는 80여호가 있는데, 30호가 안동 김씨이고,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현재에도 동제를 지낸다. 동제는 느티나무 밑에 있는 제당에서 지낸다. 육지의 섬처럼 느껴 질만큼 외진 곳이다. 마을 사람들은 인심이 순후하고 협동심이 강하다. 어사용, 그네 뛰는 소리 등 독특한 민요가 보전되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21일에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중률리) 밤실에서 채집한 나무꾼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운한이 참여하였다. 어사용의 사설이 익살스럽게 꾸며져 있다. 흔히 여성의 신세타령에 나오는 죽은 영감을 그리는 내용인데, 여기서는 둘째 낭군과 셋째 낭군이 거듭 죽은 내용이 이어진다. |
가사 | 에헤에
가마구야 가마구야 지리산 가리갈가마구야 하아하 영감을 논물 뵈러 보냈더니 산골 전지1) 열두때기 붙여 가주고 논물 보러 보냈더니 항글레2) 뒷다리에 채이 죽은 후후 영감아 말죽이따3) 말죽이따 언지는 말죽이따 하아하 그 영감 별세하고 둘째 남편 얻었더니 오뉴월 솔뱅이4) 그늘에 후후 얼어죽은 후후 영감아 아하 언지는 막죽이떼이 언지는 말죽이따 (“이가 빠져 말죽이따 말죽을 가주고 이가 빠져 말죽이따 그지 ”) 그 남편 별세하고 시째 남편 얻었더니 오뉴월 배추잎에 쌔여 밟혀 죽은 후후 영감아 한심하고 가이 없다 후후 영감아 흰 머리가 파뿌리가 되도록 살자했더니 왜 죽었노 1) 전지 : 논밭 2) 항글레 : 항굴레비. 방아깨비의 사투리. 3) 말죽이따 : 마지막이다 4) 솔뱅이 : 작은 소나무. |